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인
저자
저술가
문필가
기자
필자
서기
d라이브러리
"
작가
"(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지구에서 가장 야구를 잘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은 미국의 메이저리그(MLB)다. 동양인 불모지로 여겨지던 이 땅에 코리안 특급 박찬호를 필두로 추신수, 스즈키 이치로 같은 아시아 선수들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 시작하자 아시아에서 날고 긴다는 타자들이 여럿 MLB에 도전했다. 일본과 ... ...
손에 잡히는 초현실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단순하지만 직관적인 조각법이다.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작가
는 ‘생명애’를 작품에 꾸밈없이 담아냈다. 낯선 모습의 동물들이 당장이라도 살아 움직일 것 같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건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 ...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아는 책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데 있는 결론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로봇공학자로 일했던 웹툰
작가
랜들 먼로는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제대로 아는 사람이다. 그는 전 세계 사람들이 보내는 엉뚱한 질문에 대해 과학적으로 답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 결과를 짧은 만화와 함께 그의 블로그 ‘xkcd xkcd.com)’에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않다. 등장인물이 늘면 일러스트 가격도 올라가야 되는데 그렇지 않아 문제다(웃음).
작가
들 사이에서 가장 어렵다고 꼽히는 캐릭터는 스파이더맨이다. 허리를 반으로 접는 것 같은 역동적인 동작이 많고, 쫄쫄이 슈트의 줄무늬를 따라 그리는 게 무척 따분하고 힘들다고 한다. 스파이더맨을 아직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늘어선 소매점은, 식품이 싸고 풍요로워진 오늘날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독일의 사진
작가
안드레아스 구르스키가 자신의 유명한 사진 작품에 마트의 식품 진열장을 곧잘 등장시키는 것도, 거대한 매장에 줄 맞춰 늘어선 식품의 풍요로움이 신비로움과 아이러니함을 동시에 느끼게 하기 때문이리라 ... ...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유명한 배우인 랄프 뮐러와는 돌고래 보호를 위해 경매를 열기도 했답니다.다니엘
작가
는 어린이와 함께 작품을 만들기도 해요. 핸드페인팅을 그리는 방법을 알려 주면 어린이들이 상상력을 발휘해서 멋진 작품을 만들거든요. 다른 나라 친구들이 만든 작품을 보고 친구들도 한번 ... ...
피곤한 투수, 팬들은 불안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권혁의 혹사 여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 해 세이버매트릭스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빌 제 임스가 고안한 마무리 피로도(CF, Closer Fatigue)를 살펴보자. 마무리 피로도의 공식은 아래와 같다.마무리 피로도가 특이한 점은 투구수가 아닌 타자수를 기준으로 피로도를 평가한 다는 것이다. 마무리 투 ... ...
[Life & Tech] 여자는 여자다워야 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필자가 공부하고 있는 미국 대학에서도 남녀 교수 비율이 꽤 차이가 난다. 특히 이공계는 한국과 비슷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에 대 한 한국과 미국의 반응은 대조적이다. 미국은 인구의 절반이나 되는 여성 을 아직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회적 합의가 형성돼 있다. 반면 한국에 서 간간히 ... ...
옛날 옛적 말레이시아에…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작업을 “주말에 하는 취미”라고 말할 정도다. 그럼에도 바틴의 사진은 결코 프로
작가
의 작품에 뒤지지 않는다. 고향 슬랑오르의 풍경 속에서 살아가는 스톰트루퍼의 모습을 포착한 바틴의 작품 속에선 유머와 비극을 오가는 특별한 아우라가 느껴진다.스톰트루퍼에게도 감정은 있다스타워즈 속 ... ...
[Photo]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본 은하수는 어떻게 다를까.
작가
가 호주에서 찍은 아래 사진을 보면 우리나라보다 훨씬 두껍고 짙은 은하수와 마젤란은하(북반구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은하수 아래로 커튼처럼 드리워져 있는 녹색의 대기광까지 모든 것이 신비롭다.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