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서열
순번
순위
순차
질서
등위
d라이브러리
"
차례
"(으)로 총 2,824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가루만 서로 엉겨붙은 뒤 굳는다.그 위에 다시 가루를 뿌리고 물을 뿌리기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하면 마치 종이를 하나씩 쌓아 탑을 만들 듯 식품이 완성된다. 이때 한 번에 쌓이는 층의 두께는 약 0.1mm로 A4 용지 한 장의 두께와 비슷하다. 인쇄가 끝난 뒤 공기를 뿜으면 필요 없는 가루는 ...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오일러 추측을 반증한다. 파킨과 렌더의 첫 반례가 나온 이후 k=5, n=4인 반례가 몇
차례
더 나오며, 오일러 추측은 완전히 뭉개져 버린다. 1986년에는 미국 수학자 노암 엘키스가 k=4일 때 반례까지 찾는다. 그러나 아직 k가 6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수에 대해 식이 성립하는지 아닌지는 모른다. 위대한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기회를 주기를 추천합니다.물론 천둥번개가 매일 치는 것은 아니며, 불꽃놀이도 1년에 몇
차례
수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물들이 공포에 떠는 행동을 쉽게 생각할 문제는 아닙니다. 공포증을 자주 보이는 것이 아니라면 필요한 경우에만 약물을 복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진공청소기나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말했다.강 씨는 고교 재학 중 연구 활동을 무려 여덟 개나 진행했다. 진로 캠프에도 네
차례
나 참여했다. 일반고에 비해 연구의 기회가 많은 영재학교에서도 여덟 개나 되는 연구에 참여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그만큼 적극적으로 성실하게 진로를 탐색했다는 뜻이다. 그는 “2학년 1학기 때 물리와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여기에 적이 있기는 한 걸까. 한 컨테이너 뒤에 숨었다가 다른 컨테이너 뒤로 옮기기를 수
차례
. 창고의 거의 중간 지점에 다다른 것 같다. 혹시라도 가까이에 있는 적에게 들킬까 숨소리마저 최소로 줄인 채 키보드도 조심조심 누르고, 마우스도 살짝 클릭한다. 그때 저 멀리에 있는 컨테이너 위에서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국소적 실재성을 가지지 않았던 것이다.이후에도 벨의 부등식을 검증하는 실험은 여러
차례
수행됐다. 하지만 실험에 허점(loophole)이 있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예를 들어 국소성 문제를 검증하려면 두 전자가 충분히 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실험에서 멀리 가는 데에는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게 증명된 셈입니다. 자, 그럼 남아 있는 다른 한 가지 줄기세포의 특징을 증명할
차례
인데요. 연구진은 또 다른 쥐 C에 방사선을 쪼인 뒤, 죽다 살아난 쥐 A의 골수를 쥐 C에 이식했습니다(그림 2단계). 그 결과, 방사선 때문에 더 이상 새로운 혈구세포를 만들어 낼 수 없는 쥐 C가 이식받은 쥐 A의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밝혔다. 하지만 2차 조사결과에서는 7종의 모델이 안전 기준치를 넘는다고 번복했다. 두
차례
에 걸친 조사결과가 다르게 나온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조사한 시료의 범위가 다르다. 1차 조사에서는 2016년 제조한 ‘뉴웨스턴슬리퍼’ 매트리스의 속커버에서만 라돈과 토론을 검출했다. 하지만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재가동된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셈이다.북한은 재처리 시설 가동과 중단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대표적으로 1994년 ‘제네바 합의’ 이후 재처리 시설 봉인을 선언했다가 2002년 해제했다. 북한이 사용후핵연료를 수조에서 보관하는 이 기간 동안 세계적으로 오히려 안전 논란이 불거졌다. 송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자연 상태에서 이런 변화가 생기려면 무려 4680년의 시간이 걸린다. 중이온가속기로는 몇
차례
실험으로 가능하다. 여기에는 라온의 질량측정장치(MMS)나 동축레이저분광장치(CLS)가 쓰인다. 이들 장치는 희귀동위원소의 질량이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해 원소를 구별하고, 핵의 특성을 규명해 새로운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