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명
입증
확증
근거
보증
증언
뒷받침
스페셜
"
증거
"(으)로 총 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도시인의 장내미생물 다양성 부족은 섬유질이 부족한 서구화된 식습관이 주원인이라는
증거
가 밝혀진 것”이라며 “장내미생물은 사람이 섭취한 음식에 반응해 하루, 심지어 수 시간 내에 크게 변화할 수 있는 만큼 식습관을 바꿔 체질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 ...
브라질의 숲에서 펼쳐진 ‘혹성탈출-종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7.08.20
“원숭이가 사람을 직접 감염시킬 순 없다. 원숭이의 죽음은 감염병이 다시 발발했다는
증거
가 되기 때문에 오히려 인간에게 위험을 경고하는 ‘보초’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중에 30만 년 전에는 현생인류가 아프리카 대륙을 누비고 다녔을 거라는 강력한 ‘간접
증거
’를 담은 논문이 2013년 발표됐다. 즉 Y염색체 게놈을 분석한 결과 아프리카 카메룬에 사는 음보족(Mbo)은 다른 인류와 대략 34만 년 전(뒤에 28만 년으로 약간 줄어듦)에 공통조상에서 갈라졌다는 놀라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사실이 밝혀졌다. 운동으로 칼로리 소모량을 늘려 살을 뺀다는 전략이 별 효과가 없다는
증거
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운동으로는 200칼로리가 한계 날씬한 몸매 하면 떠오르는 김연아 선수와 손연재 선수를 보자. 다들 알겠지만 선수 시절 두 사람의 운동량은 엄청나 사실상 하루 종일 몸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미국립과학원회보’ 1월 31일자에는 후자의 가능성을 지지하는 인류학 및 고고학
증거
를 제시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뉴욕시립대 인류학과 케이트 페첸키나 교수를 비롯해 중국, 호주의 공동연구자들은 중국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유골과 유물을 분석해 공자가 살았던 청동기시대가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애기장대와 벼에서 FT단백질이 잎에서 생성돼 생장점에 있는 정단조직으로 이동한다는
증거
를 밝히면서 플로리겐의 수수께끼는 풀렸다. 정단조직은 바로 식물에서 꽃이 피는 장소다. FT단백질은 다른 어떤 호르몬보다 분자량이 큰 호르몬인 플로리겐이었던 것이다. 플로리겐 발견 논란은 70년 만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설사 시아노박테리아로 입증된다고 할지라도 그게 산소발생 광합성의
증거
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
2017.02.12
요청받는다는 것은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뜻이며 자신이 쓸모있는 사람이라는
증거
가 되기 때문이다. 기부나 봉사 활동을 통해 자존감과 행복도가 향상되는 현상 또한 같은 이유에서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움을 요청한 사람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상보다는 일을 잘 하고자 하는 열정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포함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극미세입자가 뇌로 직접 들어가 문제를 일으킨다는
증거
가 하나둘 나오고 있다. 즉 숨을 들이쉴 때 비강으로 들어간 극미세입자가 후각상피세포에 침투해 후각신경구를 거쳐 신경을 타고 뇌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후각상피세포는 냄새분자를 감지하는 수용체가 있는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끈다. 전 세계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끌 젊은 과학도들이 한국에서 힘을 키워나가고 있는
증거
다. 'IBS Research highlights & Analysis, 지식의 풍경'에 실린 우수연구성과 25선은 한눈에 연구주제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연구성과 분석 부분에서는 연구성과를 객관적으로 조망한 내용을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