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실험"(으)로 총 9,6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발굴 유전자 ‘삼돌이’, 자폐증 원인 규명에 한 발 다가서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공동 제1저자인 정윤미 박사가 후속 일을 맡아서 했습니다. 그리고, 생쥐를 이용한 실험은 IBS 신희섭 박사님 연구실에서 이보영 박사님, 김수진 학생이 맡아서 진행했습니다. -3만 명이 넘는 실제 환자의 전장게놈해독 결과와 함께 연구한 부분이 이번 연구의 결정적 부분 중 하나 같습니다. 해독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먹이로 섭취한 결과일까. 사람으로 실험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동물실험으로 확인하기로 했다. 먼저 treA 유전자를 없앤(따라서 트레할로스를 소화할 수 없는) RT027을 만든 뒤 생쥐에 감염시켜 유전자가 있는 RT027에 감염된 생쥐와 사망률을 비교했다. 생쥐들은 트레할로스가 5밀리몰농도 ... ...
-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인공지능과 결합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30
- 수 있는 AI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1만9000여 개의 인간 유전자를 크리스퍼로 절단하는 실험을 통해 부위별 절단 효율 데이터 6만7000여 개를 확보한 뒤 이 데이터를 둘로 나눠 딥러닝 AI로 표적 부위별 염기서열과 염색질의 구조, 유전자 가위의 효율 사이의 관계를 집중 학습했다. 이 방식은 기존 ... ...
- 치매로 이어지는 헌팅턴병 초기 발생과정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9
- 인해 뇌가 어떻게 공격받는지 등 핵심적 의문들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쥐와 같은 실험실의 동물보다 인간의 뇌는 훨씬 복잡하고 크기 때문이었다. 연구팀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유전자 끝부분에 HTT 돌연변이 유전자가 반복적으로 들어가 있는 인간배아 줄기 세포주를 만드는 데 ... ...
- 국산 AI 스피커를 한 자리에 놓고 써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1.29
- 듣지 않는 노래는 정확하게 알아듣지 못 했다. 기자는 오랜 신화 팬인지라 신화 노래로 실험해 봤는데, 1999년 출시된 2집의 YO!의 경우 ‘신화의 요 틀어줘’라고 했을 때 제대로 한 번에 틀어주는 비율은 반반이었다. 똑같은 명령어를 반복해도 ‘신화’만 인식해서 신화의 다른 노래(최신곡인 ... ...
- [출동!기자단] 콜록콜록~, 미세먼지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2018.01.29
- 어떻게 만들어지 는지 알아보는 ‘스모그 챔버’예요. 비닐 풍선에 공기를 담은 뒤, 실험할 물질을 다양하게 넣을 거예요. 이후 형광등을 켜 서 빛을 쪼여 주면 미세먼지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스모그 챔버는 실제 대기 환경을 재현해 놓은 곳이에요. 비닐 풍선은 ‘대기’, 푸른 빛을 ... ...
- 수술 없이 면역력 높여 주는 정맥주사로 암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9
- 주는 나노입자 ‘FHSIRPα-dox‘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정맥주사제의 암 치료 효과를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6일자에 게재됐다. 연구진이 인체에서 유래한 ‘페리틴 나노소포체’를 이용해 만든 이 나노입자는 암 세포를 직접 ... ...
- 하늘 날던 드론이 바닷속 잠수함으로 변신… 미리 엿본 드론의 미래동아사이언스 l2018.01.27
- 원하는 해역까지 비행한 뒤, 잠항으로 물속 환경을 탐사할 수 있다. 연구진은 앞으로 실험용 드론에 센서를 부착, 수온이나 해류 등 수중 환경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좀더 실용화 되면 실제 군용 잠수함에 프로펠러를 달아서 원하는 해역까지 ... ...
- 지구교신 없이 길 찾는 우주선… 深우주 탐사 새 돌파구 되나 동아사이언스 l2018.01.26
- 이 위성은 지구에서 6500광년 떨어진 중성자별 ‘크랩’에서 오는 X선을 관측하는 기초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밀리세컨드 펄서(맥동성)’의 상상도. 밀리세컨드 펄서는 초당 수백 번씩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로, 극에서 X선 같은 고에너지의 광선 빔을 내뿜는다. 지구에서 볼 때는 펄서가 ... ...
- “습기만 있으면 로봇이 움직입니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6
- 두어 해 전까지 화려한 색의 제라늄을 연구실에서 키운 김 교수는 “식물과 친하지 않아 실험실로 화분을 옮겼는데 다 말라 죽었다”며 멋쩍게 웃었다. 김호영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하이그로봇. - 윤신영 제공 식물과 친하지 않다지만, 그는 식물 전문가다. 정확히는 식물과 ... ...
이전6566576586596606616626636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