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적혈구만 한 ‘나노 다보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25마이크론이에요. 머리카락 단면 위에 이 다보탑을 20개나 쌓을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이
기술
이 나노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사진제공 KAIST*마이크론 : 100만분의 1m 크기 ... ...
노벨상은 내 거야! -노벨상 VS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마르코니 아저씨는 무선 전신을 발명해 1909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어. 이 무선 전신
기술
로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만들 수 있었고, 편리한 휴대전화도 사용할 수 있게 됐지. 게다가 마르코니 아저씨의 뒤를 이어 더 유용한 전파를 개발하던 과학자 덕분에 전자레인지까지 발명됐단다. 이밖에도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오줌을 처리하는 문제가 그야말로 큰일이었죠. 그 때는 집 안에까지 배수관을 설치할
기술
력이 없었거든요.”그럼 혹시 길거리에 …?“그래서 사람들은 오늘날의 베란다와 비슷한 돌출된 창을 설치했어요. 창의 바닥에는 작은 구멍이 있었고 그 아래에는도랑이 흐르고 있었답니다. 똥을 누면 바닥의 ... ...
태와사신기 - 사신의 부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기울였다. 현무는 실제 바다거북의 생김새를 많이 참고해서 표현했다.컴퓨터그래픽
기술
은 사신뿐만 아니라 곳곳에 쓰이고 있다. 국내성 세트의 경우 실제 건물은 30% 정도만 짓고 나머지는 모두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들었다. 숨 가빴던 격구장면에서도 수천 명의 관중이나 주변 환경은 ... ...
시속 300㎞ 위그선 2011년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위그선은 물 위를 몇 m 떠서 나는 배예요. 지난 7월 28일 경상남도 당항만에서 우리나라
기술
로 만든 작은 위그선 이 처음 선을 보였죠. 앞으로 만들 대형 위그선은 길이 77m, 폭 65m로 대형 항공기와 비슷한 100톤의 화물을 싣고 시속 250~300㎞로 운항하는 것이 목표예요. 2011년 이후에는 위그선을 타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속으로1608년 10월 15일 진공을 발견한 토리첼리 출생토리첼리는 이탈리아 파엔차에서 태어났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에게서 학 ... *‘미래 속으로’에 소개한 미래 과학
기술
은 국가과학
기술
위원회가 2005년 발표한‘2030년 과학
기술
예측조사’보고서를 참고했습니다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예? 최고의 과학자 3명을 초대하라구요?지금으로부터 한 달 전,‘어린이과학동아’3주년을 앞두고 편집장님의 특명이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3주년을 맞아 최고의 과학자 세 명을 초대 하라는 말씀. 이 때부터 담당자인 고 기자의 고민은 시작되었다. 많고 많은 과학자 중에 누가 최고의 과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본 기사는 현재 연구 중인 인공위성
기술
을 바탕으로 가상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안녕? 난 스푸트니크 1호야. 내가 누군지 모른다고? ... KSLV-1에 실려 발사된다. 성공한다면 우리나라는 스스로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있는
기술
을 갖춘 아홉 번째 나라가 된다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알고 있나요?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나로우주센터가 건설되었어요. 2008년엔 과학
기술
위성2호가 우리 로켓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지요. 앞으로도 우주 개발은 꾸준히 이뤄질 거예요. 지금은 러시아의 우주선으로 가지만 미래에는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유인우주선으로 우주에 갈 수 있답니다 ... ...
자일리톨 만드는 미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이용해 자일리톨을 만드는 방법이 나왔어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정회 교수가 개발한
기술
이에요.김 교수는 유전공학을 이용해 자일리톨을 만드는 미생물 균주인 ‘캔디다 트로피칼리스’ 를 만들었어요. 이 미생물은 기존 방법보다 2배나 더 효율적으로 자일리톨을 만들어요. 또 자일리톨을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