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스페셜
"
1
"(으)로 총 10,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1
9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하루만 늦어도 막는데 2.4일 더 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미치고 개입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진행되는지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며 “코로나
1
9가 앞으로 몇 달을 갈지 모른다는 점을 생각하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 ...
금주 공급되는 '비말 차단용 마스크' 덴탈마스크·보건마스크와 차이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가장 중요한 성능으로 생각한 것은 액체의 저항성을 갖고 있느냐”라며 “코로나
1
9 확산에 있어 침방울 차단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비말 차단용 마스크는 기존 덴탈 마스크와 거의 유사한 입자 차단 능력을 가지고 있다. KF 기준 55~80% 수준이다. 지름 0.4~0.6μm인 입자를 55~80% 정도 ... ...
"코로나
1
9 풍토병될 가능성 크다" 확산 6개월 동안 우리가 알게 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감염 메커니즘 자체를 바꾸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 과학자들은 코로나
1
9 감염증을 유발하는 ‘사스(Sars) cov-2’ 바이러스의 경우 변이 속도가 빠르지 않고 인체 감염 작동방식을 변화시키는 위험한 계통의 변이가 아직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 바이러스 퇴치하는 ... ...
러시아서 공식 승인한 첫 코로나
1
9 치료제 아비파비르는 어떤 약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없어 이달 중 심사를 마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업체들이 아비간을 코로나
1
9 치료제로 승인받기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해왔지만, 승인 신청을 낼 정도의 성과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네 가지로 나눠야 한다고 주장하며 새로 이름을 붙였다. 기존 장유형
1
을 박테로이데스
1
형과 박테로이데스2형로 나누고 장유형2는 프레보텔라형, 장유형3은 루미노코카시형으로 명명했다. 이들이 박테로이데스 우점종인 그룹을 굳이 둘로 나눈 건 박테로이데스 비율이 좀 더 높고 종 다양성이 ... ...
마스크는 코로나
1
9 감염률
1
4%, 2m 거리두기는 9.8% 떨어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빠르게 해결해 모든 사람이 같은 마스크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
1
저자인 데렉 추 맥마스터대 교수는 “우리는 일반인들에게 안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거리두기와 눈 보호, 손 씻기와 같은 기본 조치의 ... ...
방역당국 "수도권 대규모 유행 우려"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환자가 늘어 총 4
1
만4878명으로 집계됐다. 러시아를 포함해 유럽 내 환자 수는 전날보다
1
만4487명의 환자 늘었다. 총 누적 환자는 203만4268명으로 확인됐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487명 늘어 총
1
7만4654명으로 집계됐다. ... ...
우주정거장 도킹 '크루 드래건' NASA 공식 인증 눈앞
연합뉴스
l
2020.06.02
된다. 이 과정을 통과하면 크루 드래건은 NASA 우주비행사 3명과 일본 우주비행사
1
명 등 4명을 태우고 진정한 의미의 민간 우주 운송시대를 열게 된다. ... ...
"'코로나
1
9 치료제' 렘데시비르, 중등도 환자에게도 효과"
연합뉴스
l
2020.06.02
중증 환자의 회복 기간이 플래시보(위약)를 투약한 중증 환자들과 비교할 때
1
5일에서
11
일로 약 3
1
% 단축했다. 이날 길리어드 발표에 대해 전문가들은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미국 매사추세츠 주 레이히 병원의 대니얼 맥퀼런 박사는 임상 시험의 결과가 전부 발표된 뒤에야 렘데시비르 효과가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최초의 아메리카인이 주제였다. 연구팀은 시베리아의 바이칼호 서쪽 부근에 약
1
만 년에 걸쳐 살던 후기 신석기~청동기 시대 인류 유골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초로 미국에 건너간 인류가 유럽과 아시아를 아우르는 여러 인류 집단의 복잡하고 오랜 교류에 의해 탄생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