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기 기억력 갖춘 신종 파리 생산 성공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기억력이 뛰어난 과실파리가 얻어졌다.한편 콜드 스프링스 하버 연구소의 알시노 실바
박사
팀은 포유류인 생쥐에 CREB 유사유전자를 주입했으나 생쥐의 장기 기억능력은 향상되지 않았다. 이 CREB 유사유전자는 오직 장기 기억을 돕는 단백질의 생성만을 명령하는 유전자였음에도 불구하고,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미국 뉴욕에 있는 아론 다이아몬드 에이즈연구센터 소장인 데이비드 호
박사
는 몽타니에
박사
와 다른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HIV 바이러스가 매우 적극적인 바이러스라고 믿는다. HIV 바이러스는 항상 세포 밖으로 뛰쳐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면역시스템의 '브레이크'에 걸려 그 뜻을 이루지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없다. 기존의 META나 SERENDIP 시스템이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작동되고 있으며, 드레이크
박사
가 소장을 맡고 있는 SETI연구소에서 새로운 페닉스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다. SETI연구소에서는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 출신의 여성과학자 질 타터가 가세해 10년 계획의 페닉스 프로젝트를 구체화시키고 있다 ... ...
사냥명수 카멜레온의 눈은 고배율 렌즈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눈동자는 밝은 장소에서도 크게 열린 채여서 거리측정 조건이 좋기 때문이다.오토
박사
연구진이 '네이처'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카멜레온은 이밖에도 거리를 정확하게 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대상이 되는 사냥감이 망막상에 보다 큰 상을 맺으면 거리를 재기 쉽다. 그때문에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호간(Craig J Hogan)
박사
는 말했다.프린스턴고등연구소의 천체물리학자인 바콜(John N. Bahcall)
박사
의 적색왜성에 대한 연구는 암흑물질의 가능성을 제외하고 그것을 좀더 무디게 하는 것 같았다. 바콜은 "나는 황제가 아무 옷도 걸치지 않았다는 것을 우리 자신에게 인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등장하게 된다. 여러 대학에서 초빙을 받아 교수가 된 그는 제네바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는데, 그 소식이 신문에 보도되었다.마침 이 기사를 본 안나 마이어 - 슈미트(이때 안나는 마이어와 결혼한 상태였다)가 축하 카드를 보내자 아인슈타인은 그들이 함께 했던 "사랑스런 날들을 안나보다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을 우리는 갖고 있다"고 베넷 셰이위츠
박사
는 말했다.샐리 셰이위츠
박사
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우리는 이 질문들에 대해 답할 수 있는 능력이 질적으로 크게 향상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분야는 아직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흥미있는 문제제기 이상의 결과를 내놓는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N=R×${f}_{p}$×${n}_{e}$×${f}_{l}$×${f}_{i}$×${f}_{c}$×L이름하여 드레이크방정식이다. 드레이크
박사
는 후에 "좀더 정밀하게 방정식을 만들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고 술회했지만 지구밖문명을 이야기할 때 이 방정식을 빼놓고는 불가능할 정도로 유명해졌다. 여기서 N은 우리가 구하는 우리은하내에 ... ...
과학고 1회·과기대 1회·
박사
1호 정근창
박사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때 일을 많이 하고 싶어요."과학고 출신 1호
박사
로 '평범하게' 고속질주를 한 정근창
박사
는 후배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공부하는 분야를 제한하지 말았으면 해요. 자기 전공이다 아니다를 가르지 말고 흥미있는 현상이 있으면 자기의 지식체계로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해요 그런 사람만이 ...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질문에 고심하던 옛소련의 핵물리학자이며 반체제인사인 안드레이 사하로프(A. Sakharov)
박사
는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에서, 좀더 자세히 말하면 과거 어느 시기 우리 우주내에서 물질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입자-반입자간의 대칭성이 깨어졌다는 결론을 얻어냈다. 즉 탄생되는 입자의 수와 반입자수가 ... ...
이전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