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0월 첫 주. 많은 한국인의 이목이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초래했다고 본다. 반면 이번 가설을 주장한 일본 도호쿠대 쿠니오 카이호 교수팀은 7월 14일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실제 모델링을 해본 결과 황산 증기는 성층권에서 높은 밀도로 응축될 수 없는 데다, 오랫동안 잔존할 수 없어 지구의 기온을 떨어뜨리는 데에는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KIOST)과 과학동아가 주최한 열대해양연구단 10기 단원 7명이 지난 8월 18일 뜨거운 여름 바다로 떠났다. 이들이 향한 곳은 태평양의 미크로네시아 축주(州)에 위치한 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수많은 해양생물의 보금자리인 이곳에서 보낸 8박9일을 담았다.한국에서 비행기를 탄 지 16시간 만에 축에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물을 남겨놓도록 쌀농사를 짓는 농부들에게 역경매를 실시했다. 협회에 따르면, 2014년 2월 이후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새가 쉴만 한 물이 있는 습지를 4만 에이커(약 162km2) 이상 확보했으며, 100만 마리가 넘는 새들이 머물다 갔다. 인근의 다른 지역보다 30% 더 높은 수였다. 바다에서는 멸종위기종 ...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규모가 더 클 경우, 이렇게 전진과 본진을 나누게 되지요.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에도 3월 9일 M7.3 규모의 전진이 있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Part 3. ... ...
-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혹시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게임만 한다고 부모님께 혼난 적이 있나요? 그런 친구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최근 호주 로열멜버른공과대 연구팀은 규칙적으로 온라인 ...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이 연구 결과는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커뮤니케이션’ 8월 9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 있다고 ‘심리과학지’ 8월 15일자에 밝혔습니다.먼저 연구팀은 생후 6개월에서 13개월 사이의 유아 63명을 대상으로 ‘시각적 공간 능력’을 검사했습니다. 컴퓨터 화면에 테트리스 게임에 등장하는 퍼즐 조각과 유사한 도형 2개를 띄웁니다. 도형은 화면이 바뀔 때마다 회전합니다. 연구팀은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기획 중이다. 대한수학회,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함께 2017년 1월부터 매달 함께 풀 좋은 문제를 인터넷에 공개할 예정이다. 수학에 관한 거라면 엉뚱한 질문도, 대답도 대환영이다. 또래 친구들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면서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도 풀고, 생애 첫 논문도 ... ...
- [과학뉴스] 천문연, 한국우주전파관측망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에서는 수많은 별들이 탄생과 죽음을 반복한다. 그런데 이 중 태양보다 무거운 별의 탄생은 관측하기가 매우 힘들다.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 두꺼운 분자구름 속에서 ... 데 중요한 단서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천체물리학저널’ 8월호에 게재됐다 ... ...
- [과학뉴스] 핵탄두과학동아 l2016년 10호
- 9월 9일, 북한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5차 핵실험을 단행했습니다. 이번 핵실험으로 규모 5.0의 인공지진이 발생했는데, 지금까지의 핵실험 가운데 최대 규모의 폭발력이었습니다. 다이너마이트 1000t을 터뜨렸을 때의 위력이 1kt(킬로톤)인데, 북한의 5차 핵실험 폭발력은 10kt이나 ... ...
이전6606616626636646656666676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