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파괴의 주범으로 몰아붙여 희생양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 그동안 생태계를 파괴한 가장
큰
원흉이 인간이라는 명백한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양이가 유해한 병균까지 옮긴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약하다. 고양이는 오히려 병균을 옮기는 쥐를 사냥해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다”고 설명했다.의료관광이 슈퍼세균 키운다끊임없이 항생제 내성균이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항생제의 오남용 탓이다. 항생제는 세균을 사멸하는 약이다. 따라서 바이러스 질환에는 효과가 없다. 하지만 의약분업이 일어나기 전까지 국내 의료계에서는 감기에 항생제를 처방하는 일이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휴보가 태어난 KAIST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를 방문해 몇 번 밀어 보았는데요, 덩치
큰
친구의 어깨를 손으로 밀면 그 친구가 힘을 줘서 버티는 것과 비슷한 느낌을 받습니다.걷는 것은 어떨까요. 안정화 기술을 완성했다면 그 다음부터는 비교적 쉽습니다. 양 발을 교대로 안정화시키면서 다리를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큰
성과를 낼 것이고, 학회 발표와 논문 작성으로 분주한 가운데도 연구의 꿈을 이뤘기에
큰
즐거움을 느끼며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고 상상하면서 말야. 만일 원하는 일을 하지 못하고 다른 인생을 살아간다면, 30년 후 네 모습은 어떨까? 어떤 일기를 쓰게 될지 한번 상상해봐. 그 내용을 글로 쓰면서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무게추의 원심력이 각각 양쪽에서 잡아당기기 때문에 인장력을 견뎌야 한다. 가장
큰
인장력을 받는 곳도 정지궤도인 3만 6000km 상공이다. 이 때문에 우주 엘리베이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지상에 가까울수록 가늘고 정지궤도에 가까울수록 굵어질 것이다. 현재 쓰는 건축재료인 강철로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비소를 이용하는 미생물이 안정적으로 진화해 덩치가
큰
생명체가 될 가능성도 있을까.이영숙 교수는 “비소박테리아도 인을 쓸 때만큼 잘 자라지는 않은 것으로 보아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성근 교수는 “인을 이용하는 생명체와 경쟁한다면 ... ...
개가 고양이보다 똑똑한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방법으로 포유류 500 종의 뇌 크기 변화를 분석했다. 이 결과 뇌가 신체에 비해 가장
큰
동물은 원숭이로 나타났으며 말, 돌고래, 낙타, 개 등도 순위에 올랐다. 혼자 주로 생활하는 고양이나 사슴, 코뿔소 같은 동물은 뇌가 훨씬 더디게 커졌다. 사회성이 뇌 크기 비율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고양이가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지난해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서울 코앞까지 번지고 있다. 국내에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그런데 이 구제역의 원인은 당신 ... 않게 생각하면 수만 마리의 소, 돼지를 살처분하게 된다”며 “작은 참여가 구제역을 예방하는 데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 ...
FLL 로봇대회 열린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미국에서 시작해 올해로 13번째다. 50여 개국 15만 명의 학생들이 참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로봇대회 중 하나다. FLL 한국 예선대회는 2011년 1월 29일에 열린다.FLL대회는 팀으로만 참가할 수 있다. 팀은 만 9~16세의 청소년 5~10명으로 구성한다. 학생들이 과제를 연구 분석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을 수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역할을 한다”면서 “이 때문에 후보자들에 대한 외부 전문가의 평가가 심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노벨상을 타기 위해서는 “젊은 연구자들이 지도교수의 지시에만 의존하지 말고 때로는 지도교수가 안 된다고 하는 연구도 시도해야 한다”면서 “자신의 연구에 재미를 ... ...
이전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