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유다른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하자. 아직 관측되지 않은 우주끈도 있다고 하자. 그런
데
과거로 시간여행이 가능하려면 질량이 1cm당 1경t이며 빛의 속도의 99.999999996% 이상으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한히 평행한 두 우주끈이 존재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깨어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들이 개발한 경보기는 단순히 매운 향을 내뿜는
데
에 그치지 않는다. 연구팀은 공기중에 퍼지기에 가장 적합한 매운 분자의 결정 크기와 농도를 끊임없이 실험했다. 그 결과 탄생한 ‘고추냉이 경보기’는 자고 있던 사람을 1~2분 안에 깨울 수 있다.이외에도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례는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점차 나이가 들수록 뇌실(가운
데
X자 부분)이 확장되고 바깥쪽 주름 사이의 공간도 더 커진다. 즉 빈 공간이 늘어나 실질적인 뇌의 크기는 작아졌다. 각각의 행은 같은 뇌를 다른 조건에서 촬영한 것이다.][나이가 들수록 뇌가 노화되는 것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받으면 온도가 높아진다. 최 교수는 이 성질을 이용해 쥐에 있는 종양을 없애는
데
성공했다. 원리는 간단하다.먼저 탄소나노튜브를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로 코팅한 뒤 쥐의 종양에 주사한다. 그리고 종양에 3분 동안 파장이 700~110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인 근적외선을 비춘다. 근적외선은 빛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로봇이 달리도록 만드는
데
3년이 걸렸다고 하네요. 달리기 기능을 가다듬어 휴보2에 심는
데
다시 1년 반이 걸렸습니다. 조 교수는 “발동작을 조금 빨리 해봤다가 무게중심이 엇갈려 로봇이 뒤로 뛰어오르며 나동그라진 적도 있었다”며 “한 번 넘어지면 프레임이 뒤틀려 처음부터 로봇을 다시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영어나 국어는 어떻게 공부하고 있어?” “혼자 문제집하고 학교 수업 듣고 공부했는
데
성적이 이번에 좀 올랐어요.” “이런 과목을 학원 다녀서 올렸으면 고등학교에서 실패할 확률이 커. 스스로 선생님마다 가르치는 방식, 시험 문제 출제 스타일을 파악해 내는 게 너의 능력이야. 이런 능력이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속에서 이산화탄소를 줄이려는 노력으로 아주 많은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지요. 그런
데
방법을 잘 모르겠다고요? 지금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는 비법을 알려 줄게요!하루에 줄인 이산화탄소량택시 대신 버스를 타면(3㎞) 980g냉장고를 가득 채우지 ... ...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속도를 줄이는 시점의 비정확성, 더위와 중력가속도 극복 문제 등 보완할 점이 한두 군
데
가 아니다.커브에서 중력가속도를 이기는 연습을여러 번 했지만 아직은 역부족이다. 의식을 잃지 않은 것만으로도 다행이지만 실제 경기에서 지금처럼 주행했다면 뒤따라오는 경주차에 부딪혀 아찔한 사고가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이다. 하지만 상대방을 서로 믿을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즉 자신이 자백하지 않았는
데
상대방이 자백할 경우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결국 상대방이 자백할 것이라는 가정에서(상대방을 배신해서) 둘다 자백하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이 된다. 이런 선택이‘내시 균형’상태다.▼관련기사를 계속 ... ...
학교 수학시험이 사교육을 부른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묻는 과정 중심의 평가와 다양하면서도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드러내는 문항을 개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수학사교육포럼은 바람직한 수학 평가 문항 개발이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해 이런 움직임에 동참할 예정이다 ... ...
이전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