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나머지 한 가닥을 만들어 두 가닥의 DNA를 만드는데, 이 원리를 이용해 몇 번의 복제
과정
을 거치면 원하는 DNA 염기서열을 알 수 있다.사실 개인 유전체학 발전에는 시퀀싱(염기서열 분석) 기술의 역할이 컸다. DNA 정보량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판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연히 비용은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전망이다. 지구보다 큰 망원경 건설?우리나라는 한일우주전파관측망을 구성하는
과정
에서 ‘한일 공동 상관기’를 개발하는 일을 맡고 있다. 천문연 상관기그룹 노덕규 그룹장은 “한일 공동 상관기는 기존 상관기보다 자료 처리속도가 8배 정도 빠르다”고 밝혔다. 최근 연세대 KVN본부는 일본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연구로도 알려졌지만, 결정물리학(結晶物理學)의 창설자로 큰 명성을 얻었다이
과정
에서 후에 로렌츠 변환으로 알려진 이론의 기초를 확립하고 텐서의 개념을 정립했으며, 열역학(熱力學)과 전자기학(電磁氣學)이 수리적 전개도 시도했다주요 저서에《Lehrbuch der Kristallphysik》(1910)가 있다기체분자의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걸리는 메커니즘조차 아직 명확하지 않다. 우 교수는 “광우병 쇠고기가 소화
과정
에서 흡수되면 변형 프리온이 비장이나 신경절에서 증폭되고 신경을 타고 뇌에 도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그는 또 “사람이 인간광우병에 걸려 죽는 1차적인 이유는 뇌신경세포에서 변형 프리온이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알루미늄 이온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이 이온이 다시 수소이온을 활성화한다. 이
과정
이 반복돼 알루미늄의 양이 1~2ppm으로 많아지면 무기염류가 뿌리로 들어가지 못한다. 결국 무기염류가 부족해진 작물은 단백질을 적절하게 만들어내지 못해 열매가 덜 자라거나 수가 확연히 줄어든다. 알칼리성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만약 뇌혈관 속을 흐르던 독성물질이 뇌세포로 빠져 나온다면 뉴런이 파괴돼 인간의 사고
과정
이 마비될 수 있다.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 뇌혈관은 일반 모세혈관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모세혈관은 혈관내피 세포라는 세포가 얼기설기 붙어 관을 만든다. 관 안쪽에 흐르던 혈액은 혈관내피세포가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않았냐고 물었어요.“잠잘 때 동료 우주인의 코고는 소리가 심했다는 점만 빼면 훈련
과정
에서 큰 어려움은 없었어요. 하하!”이번 훈련의 책임자인 가가린우주센터의 알렉산더 게르만 중령은 고산 씨와 이소연 씨의 훈련 결과에 대해 크게 만족했어요.고산 씨와 이소연 씨는 생존훈련을 마친 바로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常溫常壓)에서 이루어지며 우리 몸에 필요한 것을 효율적으로 생산한다생체의 이런
과정
을 외부장치에 적용시키면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생산을 할 수 있다 항생물질의 하나 1951년 A C 핀레이 팀이 방선균(放線菌)인 스트랩토마이세스속의 배양액에서 얻은 수용성 염기성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경로가 연결돼 있는 신생아의 뇌신경세포가 ‘가지치기’를 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이런
과정
은 생후 1년 정도면 어느 정도 완성된다는 뜻이다. 공감각 경험자는 이런 가지치기가 완벽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인 셈이다. 라마찬드란 교수는 이런 가지치기를 방해하는 ‘공감각 유전자’가 있어 뇌의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따라서 연구자들은 변형 프리온 자체는 독성이 없고 대신 정상 프리온을 변형하는
과정
에서 세포독성이 강한 프리온 조각이 떨어져 나온다고 가정했다.영국 런던 유니버시티칼리지 신경학연구소 사라 타브리지 박사팀은 프리온 조각의 세포독성은 세포내 프로테아좀의 작용을 방해한 결과라는 ... ...
이전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