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갑옷을 입은 포유류 아르마딜로 VS 천산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아르마딜로는 갑옷처럼 생긴 등껍질을 두르고 있는 동물로 유명해요. 이 모양새 때문에 ‘무장한’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아르마도(armado)’에서 이름이 유래됐지요. 피갑목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로, 주로 작은 곤충이나 나무 뿌리,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고 살아요. 나쁜 시력 대신 뛰어난 후각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물고기는 피가 투명하다?!일 년 내내 추운 날씨가 이어지는 남극 바다의 수온은 영하 1.8℃에서 영상 4℃ 사이에요. 온대나 열대 지역의 바다보다 훨씬 낮지요. 이처럼 수온이 낮으면, 기체의 용해도는 높아져요. 즉, 남극 바다는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산소가 녹아 있는 거예요.이런 이유로 남극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눌러도 좁은 면적에 힘이 집중돼 큰 압력이 된답니다. 손가락이 종이에 닿는 부분이 지름 1cm의 원이라고 가정하면, 종이 모서리를 누르는 압력은 종이 전체를 눌렀을 때보다 약 80배나 커지지요.손가락으로 종이 모서리를 문지르는 행동도 종이에 손을 베는 원인 중 하나예요. 종이 모서리를 문지르면 ... ...
- 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프로젝트에 참가할 수 있어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마누 프라카시 교수팀은 지난 해 11월 시민들이 모기 소리를 휴대전화로 녹음해서 보내 주면, 이를 분석해 전세계 어느 곳에서 어떤 종류의 모기가 살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시민과학을 시작했어요.모기는 날아다닐 때 ‘앵’ 소리를 내는데, 종에 ... ...
- 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그게 뭐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 ... ...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계산과 수많은 실험을 통해 물의 양을 정해요. 보통 깔때기 안으로 흘려보내는 물의 양은 1초당 450L 정도랍니다. # “야호~, 시원~하다!”오늘 물놀이는 정말 즐거웠어. 다 안전 수칙을 지켰기 때문이지. 안전하고 즐거운 여름을 위해 친구들도 꼭 안전 수칙을 지켜 줘~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공룡은 스테고사우루스지요.스테고사우루스는 중생대 쥐라기 후기(1억 5000만 년 전~1억 5500만 년 전)에 살았어요. 몸 길이는 최대 9m, 몸무게는 2t으로, 검룡류 중에서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해요. 반면 몸 크기에 비해서 머리와 뇌의 크기는 매우 작아요. 그래서 지능이 낮은 공룡으로도 알려져 있지요 ... ...
- Part 1. [탐사일지] 태양 탐사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파이어니어 5호’가 최초의 태양 탐사선이에요. 그리고 NASA는 1965년부터 1968년까지 1년 간격으로 파이어니어 6, 7, 8, 9호를 태양에 보내서 본격적으로 태양 탐사를 시작했어요. 이후 유럽우주국(ESA)과 일본 등 여러 나라들이 태양 탐사에 나서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션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폭발하면서 생긴 열이 코로나로 모이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게다가 나노플레어는 1초당 수백만 번이나 일어나요. 수많은 나노플레어들이 폭발해 모인 열로 코로나의 온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는 거예요.서울대학교 천문학부 이정우 교수는 “현재 과학자들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보다는 두 ... ...
이전6636646656666676686696706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