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끝
최후
극도
결국
극단
연극단
d라이브러리
"
궁극
"(으)로 총 83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의
궁극
적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쪼개고 또 쪼개면
궁극
적으로 남는 것은 무엇일까. 고대인의 물질관에서부터 분자 원자 아원자 소립자의 세계로 이어지는 과정을 추적해본다. 물질구조의 이해는 세계관의 변화를 의미하며, 그 연구결과는 곧바로 우리가 누리고 있는 과학기술문명과 직결된다. 분자구조가 밝혀지면서 화학혁명이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발생을 거듭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발생생물학자들이
궁극
적으로 밝혀보려는 실험은 이같은 다세대에 걸친 발생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일이다. 어떤 생물이 무중력 상태에서 전 생애를 마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내는 일은 우주발생생물학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 ...
천문학계의 새바람 「허블 망원경」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는 우주가 언제 태어났느냐는 문제와 앞으로 우주가 어떻게 변할 것이냐는 인류의
궁극
적인 의문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현재 천문학계는 우주팽창률과 관련해서 허블상수를 50과 1백으로 보는 두파로 나뉘어져 있다.이와 관련 우주공간에 떠있는 허블망원경이 관측하고 있는 은하는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성장에 이용했다. 이때 수은은 자연스럽게 이들의 세포내에 남게 되었다. 유기물질은
궁극
적으로 세포내에서 분해되지만 수은과 같은 중금속은 분해되지 않고 축적된다.플랑크톤은 물고기의 먹이가 되고 사람은 이 물고기를 섭취함으로써 그곳사람들 몸 속에 다량의 중금속이 축적됐던 것이다.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사용됐다. 앞으로는 도심지 또는 건물 지하에 건설돼 전기와 열을 동시에 공급하고
궁극
적으로는 대형 화력발전소를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로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외에도 매연과 소음이 없으므로 실내에서 작업하는 차량 또는 도심지를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동력원으로 채택될 수 있다. 또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다. 이러한 우주의 최후에 대한 수수께끼, 즉 우주가 영원 팽창을 계속할 것인가, 또는
궁극
에 가서 수축 소멸을 해버릴까하는 문제를 학계에서는 '오메가 문제'라 부르고 있다.코비가 풀어낸 숙제물질섭동의 기원문제는 대폭발 이론 70년 이래 난제중 하나로 최근에 극적으로 풀려졌다.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염기서열 결정의 자동화 등 관련기술이 발전했으므로 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것이
궁극
적으로는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는 계산이다. 근육경직을 일으키는 유전병인 낭성 섬유종의 유전자가 클론(clone)되고 그 염기서열이 결정됐는데, 이에 소요된 경비가 약 7백억원이었다. 앞으로 이와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도로의 교통상황정보를 사전에 제공해 교통량을 적절히 분산하는 효과를 얻어
궁극
적으로는 교통혼잡을 완화시키는 것이다.이러한 시스템은 교통공학과 전자공학의 합작품으로 선진 외국에서는 활발히 연구개발 중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시작단계에 있다.이 글에서는 도로교통관제시스템의 구성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고체상태의 내핵이 액체상태의 외핵 안에서 어떻게 진동하는지를 연구하고 증명했다.
궁극
적으로 이러한 신기술은 내핵의 질량을 보다 세밀히 측정해 주리라 여겨진다.지구중심부의 내핵과 외핵 두개념은 외핵 액체의 열의 대류와 고체 내핵의 성장에서 뿌려지는 가루분말로 '지구다이나모'를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간단한 개별적인 반응들을 분자계 차원에서 자세히 이해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궁극
적으로 생체현상과 같은 복합적인 반응도 수학적인 모형을 통해 정량적으로 기술할 수 있게 된 것이다.화학반응은 크게 두 관점에서 연구된다. 그중 하나는 주어진 화학반응이 과연 일어날 수 있는지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