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으)로 총 2,5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게임카페 두 번째 시간 세상에서 하나뿐인 나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고양이 한 마리를 집 안에 들여놓으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게이머는 직선과 곡선, 십자, T자형으로 생긴 관을 이어 쥐가 고양이를 피해 달아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관 곳곳에는 폭탄이 설치돼 있어 쥐가 지나가기 전에 터지면 관의 모양이 바뀌고 만다. 오 교수는 “스마트폰의 스크린을 터치해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스마트폰이 생기고 나서 아버지와 공유하는 순간이 늘었다. 대구와 서울, 수백 km 떨어진 거리지만 스마트폰으로 찰칵 사진을 찍어 메신저로 사진을 보내면 ...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Bridge. 그래픽으로 보는 서울 물 지도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약 46억 년 전 이제 막 태어난 아기 지구는 아주 뜨거웠다. 수많은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했고, 이 충돌로 생긴 에너지 때문에 지표면의 온도는 수천ºC에 달했다. ... 과학자의 이상한 물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Bridge. 그래픽으로 보는 서울 물 지도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 ...
- [과학뉴스] ‘아리랑 3A호’ 26일 러시아에서 발사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아리랑 3A호는 발사 후 4년 간 528km 상공에서 지구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중량은 1.1t으로 한국위성 최초로 고성능 적외선 센서를 탑재해 야간에도 관측이 가능하다. 또 0.5m급 국내 최고 해상도의 광학렌즈를 이용해 도시 열섬현상과 같은 기후변화와와 재해재난, 환경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할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구름 등 에어로졸의 이동경로를 관측하고 있는 기자를 만나보겠습니다. 캐츠(CATS) 기자!CATS 기자 네, 지금 제가 서 있는 우주정거장에서 봐도 뿌연 미세먼지가 중국 상공을 덮고 있네요.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저는 올해 1월에 이곳에 도착해 레이저 장비로 구름의 위치 및 분포를 측정하고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디젤발전기나 연료전지 같은 별도의 발전기를 돌릴 수 있도록 따로 설계가 돼 있다. LBTS가 전체가 거대한 전자 회로라면 배전반은 정밀한 보호장치인 셈이다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환경은 탐사선 우주거북선 호의 개발을 힘들게 했다. 그러나 고된 시도 끝에 우리는 100t짜리 탐사선을 자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문제는 화학로켓 대신 쓸 강력한 원자력 로켓 엔진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원자력 로켓 엔진을 쓰면 도착 시간을 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로켓을 이용하면 2년이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필자가 일하는 KISTI는 매년 10대 미래유망기술을 발표한다. 지난해 12월에 뽑은 기술 중에는 2년 전 급부상한 신기술인 ‘4D 프린팅’이 있다.3D 프린팅도 이제야 혁명전야를 ... INTRO. 3D 프린터, 혁명을 출력하다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P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먹이를 빨아들여서 먹었을 가능성이 크다. 몸집은 어땠을까. 몸 길이 11m에 몸무게 6.4t의 거구였다. 등에는 마치 부채나 돛을 인 것처럼 크고 긴 구조가 있었다. 이 구조는 두 뒷다리로 걷기 위해 발달한 것으로 마치 추처럼 작용해 무게중심을 잡도록 도와줬다. 골반도 뒤로 기울어졌고, 발이 컸다.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부족량을 충당하기 위해 13억t의 물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보고서는 “실제로 11억7000만t을 확보했으며 미래의 물부족량을 생각하면 적절하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하지만 한편 “확보된 용수는 본류 인근 지역에서만 활용이 가능하다”라고도 밝히고 있다. 다른 곳에서 가뭄이 나면 물을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