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1,8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정책에 청년 의견 담는다…2기 과기정통부 2030자문단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진행됐다. 유 장관은 “급변하는 과학기술의 흐름 속에서 청년들의 독창적인 시각과
새로운
접근이 혁신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한다”라면서 “2030자문단이 정책 수립·소통 과정에서 아이디어나 애로사항이 있다면 언제든 의견을 전달해주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강경진 책임연구원은 “전기연접 억제의 분자적 기전을 규명해 신경세포 간 정보처리의
새로운
방식과 이를 활용한 뇌의 복합적인 정보처리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초파리를 통해 앞으로 뇌 정보처리의 한 축을 담당할 신경연접 전달 기전을 더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 ...
AI 유전자편집기·바이오봇…올해 첨단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정부는 바이오 연구개발사업 분석을 통해 미래유망기술 관련 공백 분야를 발굴하고
새로운
국가 사업으로 이를 육성하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과기정통부는 첨단바이오 기술 육성의 주관 부처로서 신기술‧신산업 개척의 선봉장인 유망기술을 지속 ... ...
스트레스로 생긴 혈관 내 세포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어 스트레스 관련 심혈관 질환의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동맥경화, 혈전, 혈관 생물학’에 지난해 10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161/ATVBAHA.124.3215 ... ...
[표지로 읽는 과학] '펑크 스타일' 머리 가진 연체동물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8
사진을 결합해 3D 이미지로 만들었다. 이미지로 만든 결과 바위에서 발견된 화석은
새로운
아쿨리페란 연체동물 2종이었다. 아쿨리페란은 다른 콩키페란 아문에 비해 화석이 잘 발견되지 않아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아쿨리페란 2종의 몸은 많은 가시로 뒤덮여 있었다. 연구팀은 펑크와 ... ...
AI로 두 현미경 합쳐 고해상도 세포 이미지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세포 영상화가 가능해졌다“며 ”살아있는 세포의 질병 모델 분석 등 다양한 연구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38/s41467-024-55262- ... ...
ETRI, 美 아르곤국립연구소와 반도체 기술 연구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위한 업무협약은 아르곤국립연구소의 연구 역량과 ETRI의 기술력이 결합돼 미래를 향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폴 컨스 아르곤국립연구소 디렉터도 “전자이온충돌기(EIC)를 비롯해 추후 다양한 기술 분야로 양 기관이 협력을 확대함으로써 양 국가 간 기술 ... ...
[사이언스영상] 자연스러운 로봇 표정 만들어낸 '파형'
SEIZE
l
2025.01.17
연구진이 자연스럽게 졸고 있는 어린이 로봇 영상을 공개했다. '파형 움직임'을 활용한
새로운
표정 생성 기술을 개발해 논문으로 공개한 것이다. 표정을 구성하는 다양한 동작을 개별 파형으로 바꾼 뒤 표정을 지을 얼굴 부위로 이 파형이 번져나가도록 했다. 이전에도 로봇이 표정을 지을 순 ... ...
101개 언어 음성 동시통역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미국 기업 메타의 심리스(SEAMLESS) 커뮤니케이션팀은
새로운
고성능 AI 번역모델 '심리스M4T'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5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현재 AI 번역 시스템은 대부분 텍스트 중심이다. 음성을 음성으로 번역할 때도 보통 음성-텍스트 ... ...
의도치 않게 '춤 추는' 희귀질환 헌팅턴병 새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이달 초 발표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은 헌팅턴병의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지목되는 'RNA 처리 결함 유발 분자 메커니즘'을 '네이처 신경과학'에 최근 공개했다. 임상현장의 변화도 예고된다. 학계에 따르면 인간 제대 중간엽 줄기세포(hUC-MSCs)를 활용해 헌팅턴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