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릇
담력
원기
용감
기운
무용
용맹
뉴스
"
용기
"(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2] 국산 핵융합장치 KSTAR의 진공배기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09
1300여대를 가동하는 것과 비슷한 성능입니다. 이렇게 진공 상태를 만들어 진공
용기
내의 압력이 대기압의 10억분의 1 정도로 낮아졌을 때, 비로소 플라즈마 실험을 위한 연료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 KSTAR 실험의 여정 중 첫 번째 단계가 완료되었습니다. KSTAR를 진공으로 만드는 과정은 앞으로 실험을 ... ...
대학 안전의식 심각… 안전사고 10건 중 9건이 대학
2015.11.09
공기 중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뚜껑을 닫아 둬야 하지만 실험실에서 폐기물 처리
용기
뚜껑을 열어 놓은 경우가 많았다. 실험실에서 음식을 섭취하는 사례도 여럿 적발됐다. 주로 귀찮거나 시간이 없다는 게 이유였다. 세균을 보관하는 실험용 냉장고에 음식을 함께 보관하는 경우도 ... ...
지난해 실험실 안전사고 22건은 ‘화학물질’ 때문
2015.11.09
함께 넣는 바람에
용기
가 폭발하는 일도 있었다. 2013년에는 질산과 개미산을 한 수거
용기
에 동시에 버리는 바람에 유독 가스가 발생해 해당 실험실은 물론이고 인접 실험실에 있는 연구원들이 모두 대피했다.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 핵융합에너지, 원자력에너지와 어떻게 다를까요?
2015.11.05
이것을 제어하지 못하면 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죠. 반면에 핵융합은 진공 상태의
용기
에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외부에서 소량으로 분사하여 핵융합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료 주입만 차단되면 단 몇 초 안에 즉시 가동을 멈출 수 있죠! Q : 핵융합 발전 과정에서도 ... ...
일본만 있나, 우리도 영하 271도 극저온 냉각장치 있다
2015.11.04
연구단은 “냉각장치 개발에 쓰인 제작 노하우는 의료 분야에서도 활용돼 MRI용 헬륨
용기
제작에 쓸 수 있을 것”이라며 “2021년 완공되는 중이온가속기는 기술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원통형
용기
를 이용해 육각형 구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실험했다. 액체를 채운 원통형
용기
에 원판을 넣고 전동기로 회전시키자, 회전수에 따라 원통형에 들어있는 액체 표면에 삼각형부터 육각형까지 다양한 다각형 모양이 만들어졌다. 토성의 북극도 이와 유사한 구조로 돼 있을 확률이 높다.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쓰지 않고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을 택한 것이다. 연구팀은 독성 유기물 분산제 대신
용기
를 회전시켜 얻은 기계적 에너지만으로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박막형태로 만들어냈다. 이 방법으로 프린팅한 나노잉크는 대기 중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등 기존 유기물 분산제를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있었지만, 선배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갈릴레이에게 사과한 당시 교황 요한 바오로2세의
용기
는 높이 평가해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최근 과학계에서 한 종교인에 대한 칭찬이 이어지고 있다. 주인공은 지난해 이 무렵 우리나라를 방문하기도 한 프란치스코 교황이다. 지난 2013년 취임한 프란치스코 ... ...
식중독의 계절… 냉장고 너무 믿지 마!
동아일보
l
2015.06.29
보관하는 게 좋다. 어패류는 식중독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어 구입 즉시 깨끗이 씻어 밀폐
용기
에 저장해야 한다. 생고기 등을 냉동 보관할 때는 한 번에 쓸 만큼씩 여러 개의 비닐봉지에 나눠 담아야 한다. 큰 덩어리를 얼려놓고 필요할 때마다 해동해 썰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면 식중독균이 활성화될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분자생물학자가 면역학 문제를 해결하는데 뛰어들 때가 됐다”는 둘베코 박사의 말에
용기
를 얻은 도네가와는 가기로 결정했다. 1971년 초 바젤에 도착한 도네가와는 처음 몇 달간 고생했지만 적응을 하고 당시 면역학 분야의 최대 이슈였던 항체 다양성의 유전적 기원을 밝히는 연구에 뛰어든다.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