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작가"(으)로 총 1,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진관] 나는 믿어요. 지금 흘리는 눈물방울마다 새 꽃이 피어날 것을동아사이언스 l2018.04.20
- 하얗게 백화(白化)되어 죽어가는 어린잎의 모습이 마치 한 방울의 눈물 같다. 작가의 TIP 칼슘에 대해서 식물은 칼슘을 스스로 합성할 수 없다. 뿌리를 통해 칼슘을 흡수하고 식물 세포에 골고루 전달해야 한다. 사진의 식물은 칼슘 수송에 관여하는 채널이 망가졌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 ...
- [과학사진관] 나무는 겨울에도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2018.04.19
- | 연구원 Axel Timmermann, Karl Stein, Elke Zeller (timmermann@pusan.ac.kr) 소속 | 기후물리 연구단 작가의 말 "나무 기둥 단면에 보이는 동그란 테두리들은 나무가 살아온 연수를 나타내고, 테두리들 사이 간격은 습하고 건조한 정도를 나타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Trattato della Pittura」) " 레오나르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6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 등이 있다 ... ...
- [과학사진관] 내 마음의 어딘 듯 한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동아사이언스 l2018.04.16
- 연구 내용과 이어 생각해보면 희망적인 메시지를 사진에서 읽을 수 있다. 작가의 TIP 쉴렘관이란? 혈관과 림프관의 중간 형태인 쉴렘관은 방수가 혈관을 통해 전신 순환계로 빠질 수 있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조직이다. 위 작품에서 초록색이 쉴렘관이고, 보라색은 혈관이다 ▶[과학사진관]의 ... ...
- [테마영화] 극한의 상황에서 살아남기2018.04.14
- 간다’의 김성훈 감독이 만들고 하정우, 배두나가 주연으로 나선 영화다. 소재원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차를 타고 집으로 가던 정수(하정우 분)는 터널을 지나던 중 터널이 무너져 그곳에 갇힌다. 정수의 아내 세현(배두나 분)은 발을 동동 구르고 구조대원들은 정수를 구하기 위해 ... ...
- [과학사진관]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은 늘 나를 꿈꾸게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2
- 치는 밤으로 제목을 지었다. 빈센트 반 고(Vincent Van Gogh), 작가의 TIP *접합 시스템이란? 전지구 기후는 대기, 해양, 대륙, 빙하 등 기후 요소들 및 그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뤄진다. 지구시스템모델링은 모든 기후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요소 간 긴밀한 ... ...
- [과학사진관] 경고! 지나친 현미경 사용은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crystals 작가 | 카렐 구센스 연구원 (kg24569@ibs.re.k) 소속 |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작가의 말 교차된 평광판을 통해 관찰되는 액정(liquid crystal)의 부채꼴형 결함(fan-like defect) 문양은 경고 메시지를 잊게 할 만큼 흥미로워 한참을 들여다봐도 지루하지 않다. 본 이미지는 시료와 두 번째 ... ...
- [과학사진관] 난 죽을 수도 있어요.사랑을 위해서라면동아사이언스 l2018.04.10
- Elisir d'amore 작가 | 황정미 연구원 (hjm072@ibs.re.kr) 소속 |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작가의 말 하트모양의 단백질은 전쟁터에서 극적으로 만난 생존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단백질과 단백질의 결합을 분석하는 CUPID 기술을 이용해 포착한 이미지다. 빨간색 형광물질이 결합된 MSH2 단백질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6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 등이 있다 ... ...
- [과학사진관]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동아사이언스 l2018.04.09
- RNAi(RNA 간섭기술) 및 바이오 이미징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작가의 TIP 위 작품에서 파란색 화살표는 나노입자, 빨간색 화살표는 RNA, 노란색 화살표는 복합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복합체에서 RNA 비중이 늘어난다. 이를 직접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