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울조울’ 감정 기복 심한
사람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비교했다. 비교 결과 연구팀은 ‘ADRA2b’ 유전자에 변이가 나타난
사람
은 그렇지 않은
사람
에 비해 감정을 조절하는 뇌 부위가 과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감정 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뜻이다. 레베카 토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외상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심리적 장애를 ... ...
광우병 막을 유전자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것이 원인이다.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존 콜린지 교수팀은 쿠루병에서 살아남은
사람
에겐 이런 변형 프리온 단백질에 저항성을 가진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연구팀은 “병을 앓는 과정에서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프리온에 내성이 있는 단백질이 만들어진 것으로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별도의 전파 수신 장비가 없는
사람
의 숫자도 셀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집에 있는
사람
수에 따라 난방 세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주택 기술이나, 재난 발생 시 구조 활동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하는 이유가 뭘까. 조금이나마 한을 풀기 위해서다. 정부의 초기대응 실패로 300명 넘는
사람
이 눈앞에서 가라앉아가는 모습을 온 국민이 지켜봤다. 그 충격과 한은 아직 그대로다. 이번 인양은 그 한을 풀기 위한 시작일 뿐이다. 세월호 선체는 진도 팽목항에 전시돼 추모공원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 ...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테슬라라는 인간은 환상의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아이디어와 환상 사이에서 투쟁한
사람
”이라고 밝힌다. 테슬라는 마법사가 아니라 성공과 실패를 거듭한 한 인간일뿐이라는 것이다.서두에 언급한 영화 속에서 테슬라는 어느 순간 갑자기 인물들의 갈등에서 빠져나와 잠적한다. 신화적인 ... ...
소라가 해저 압력 이기는 비결은 나사 모양!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영을 잘 하는
사람
이라도 바닷속 깊이 들어갈수록 숨쉬기가 힘들어집니다. 바다가 깊어질수록 압력이 커지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면 뼈가 없고 살도 연약하고 부드러운 연체동물은 해저 압력을 어떻게 버티는 것일까요?인도과학연구소 찬드라 티와리 박사팀은 연체동물 중에서도 조개와 소라가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폭우처럼 쏟아진다.번개로 생명이 탄생하고 동식물이 잘 자란다는 얘기도 놀랍지만,
사람
이 직접 번개를 만들어 에너지를 얻기까지 한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그런데 옆에서 덤덤히 설명하고 있던 번개사냥꾼이 갑자기 씨익 웃으면서 총을 꺼내들었다! 그리고 눈앞에 있던 빈 깡통을 쐈다.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끝난 뒤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해야 하지만 수학 모형의 중요성을 잘 모르는
사람
이 많다”고 토로했다. 메르스를 교훈으로!전염병 모형을 꾸준히 연구하면 다른 병에 대처할 때도 도움이 된다. 정 교수는 수도권 시민의 통근·통학 데이터를 토대로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확산 모형을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끝난 뒤에 기자에게 ‘과학기자가 되는 방법’을 취재해 가기도 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
은 주변에 그 힘을 전파한다더니 김상미 선생님이 딱 그런 분이었다. 선생님의 이야기가 수학자의 명언 못지않게 독자에게 힘을 전하길 바란다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정리하며 축구공이 몇 조각의 가죽으로 이뤄졌는지 눈으로 확인했다.시간이 흐를수록
사람
들은 점점 완벽한 구를 닮은 축구공을 원했다. 그 결과 2006년 독일 월드컵 공인구 ‘팀가이스트’부터 혁신이 일어났다. 가죽 조각의 수가 32개에서 14개로 절반 이상 줄어든 것은 물론, 깎은 정이십면체를 ... ...
이전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