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롱패딩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패딩의 절반 가격 수준이지만 품질이 뛰어나다는 입소문을 타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11월 16일 현재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서는 매진으로 구입이 불가능하다. 거위나 오리털 패딩의 보온성이 뛰어난 이유는 뭘까. 거위와 오리는 주로 물에서 생활한다. 물속에서는 공기 중에서보다 더 ... ...
- [과학뉴스]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유지한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었다. 연구팀은 베이지색 지방이 많은 쥐에서 짝풀림단백질-1을 없앤 뒤 고칼로리 식단을 제공했다. 그 결과 단백질이 사라져도 여전히 비만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베이지색 지방에 에너지를 태우는 또 다른 경로가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세포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이 차지했다. 부산대 팀은 나노선을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쉽게 말해 X, Y, Z축으로 이뤄진 3차원 좌표에 점을 찍으며 3차원 지도를 그린 것이다. M1이 매장 전체 약 3000m2 면적의 지도를 만드는 데는 2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렇게 완성된 지도는 클라우드 컴퓨터에 저장된다. 어라운드가 2차원 라이더로 주변을 스캔해서 간단한 2차원 평면도를 만든 뒤 ...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눈빛 교환 한 번에 스르륵 화면이 뜬다. 인식 오작동 확률은 100만 명 중 1명 꼴. 5만 번 중 1번인 터치ID보다 보안 기능이 강화됐다. 얼굴 인식이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사진에서 얼굴을 인식해 동일 인물을 자동으로 묶어 알려준다. 얼굴 인식 기술의 ‘원조’는 우리 뇌다. 뇌는 70ms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잠금장치가 풀리지 않는다. 애플은 “페이스ID가 얼굴을 헷갈릴 확률은 100만분의 1 수준으로 매우 낮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내보다 한 달 먼저 아이폰X이 출시된 미국에서는 페이스ID가 ‘뚫렸다’는 제보가 유튜브에 속속 올라왔다. 한 영상에서는 페이스ID가 일란성 쌍둥이를 분간하지 못했다. 또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를 강화학습으로 조정해 F*를 만든 것이다. 그런데 알파고 제로는 16만 기보를 사용해 F1을 만드는 과정을 생략하고 무작위로 설정된 함수 F0으로부터 최종 함수 F*를 만들었다. 아무것도 모르는 두 개의 알파고 제로 프로그램이 대국을 반복하면서 그 결과를 가지고 최종 함수를 도출해 기존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평가를 한다. 보통 PI 5~6명이 모여있는 연구실 단위로 10여 명의 BSC 위원이 평가를 한다. 1년 전 연구자들에게 평가 일정과 가이드라인 등이 공지된다. 연구책임자들은 A4 용지 25장 분량의 성과보고서를 작성해 평가 두 달 전까지 제출한다. 1998년부터 NIH국립암연구소(NCI)의 PI로 활동하고 있는 이경상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짰다는 점이에요. 이 이벤트를 계획한 스티븐 밀러 윌리엄대 수학과 교수는 2015년 1월 ‘레고 브릭(블록)의 수학’이라는 5주짜리 겨울학기 강의를 열었어요. 3주 동안 경우의 수를 따지는 조합론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쓰는 최적화 이론을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10분 안에 슈퍼스타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다. 이 소식을 접한 기자는 지난 10월 프랑스 남부에 있는 몽펠리에를 찾았다 ... ...
이전6686696706716726736746756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