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옮겨 심으면 죽어 버리는 모데미풀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이러한 모데미풀은 우리 학자들의 꾸준한 탐색 끝에 1968년 강원도 점봉산에서 이창복 박사에 의해 재발견된 다음 1972년 전북 덕유산에서 박만규 선생에 의해 확인됐고, 그 후 경북 충북의 소백산(정영호) 제주도(김문홍) 등지에 제한적이나마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필자는 금년 봄 강원도 ... ...
- 유전공학 6대 논란과학동아 l1993년 11호
- 80% 이상이 공통될 정도로 순수하며, 유럽인의 유전자와는 크게 다르다고 이대실 박사는 말한다. 서울대 의대의 박주배 교수도 "이 문제는 인류유전학에서 다룰 것이지만, 분석의 방법이나 해석의 차원에서 문제제기나 반론이 심하다"고 밝혔다. [5] '이기적 유전자설' 설득력 있나이기적 유전자란 ...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연구는 각기 별도로 이루어졌는데, 1977년 당시 샤프박사는 MIT공대에서, 그리고 로버츠박사는 뉴욕주 롱아일랜드의 콜드 스프링 하버연구소에 재직하고 있었다 ... ...
- 34억 6천 5백만년전 남조식물 화석 발견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살아온 것으로 추정된다.문제는 생명체다. 원시생명의 권위자인 캘리포니아대학의 쇼프 박사는 최근 '사이언스'에 기고한 논문에서 적어도 34억6천5백만년 전에 이미 생명체가 탄생했을 뿐 아니라, 복집한 정도에서 상당한 단계로 발달했음을 암시하는 화석을 제시했다. 이 발견에 따라 단순한 ... ...
- 강 여행과학동아 l1993년 11호
- 빗물에 의해 오염되고, 바다로 오염물질을 흘려보낸다고 생각되어왔다. 그러나 올슨 박사에 의해 바닷물 스스로가 강으로 역류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염수가 조수간만의 차이로 들어오는 뉴욕의 포키프시 아래에 있는 이 지역은 허드슨 강에서도 두드러진 지역이다. 올슨은 자유의 여신상 ... ...
- 의학계에 논란 불러일으킨 생체공학 귀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위해서는 삽입물이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석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따라서 깁슨박사는 "이 수술은 평범한 어린이들이 언어를 익히는 시기인 4세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고 말하고 있다. 현재 시드니의 '어린이 내이(內耳) 삽입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그는 지난 84년부터 87년까지는 농아 ...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과학동아 l1993년 10호
- 4년간의 수련의 과정을 거친다. 이론시험에 합격하고 실습을 거쳐 논문이 통과되면 국가 박사학위가 수여된다.근대 서양 과학문명의 토양은 프랑스의 수학자이며 철학자인 데카르트에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의약분야는 1886년 파스퇴르가 최초로 공수병 백신개발을 보고함으로써 질병의 ... ...
- 전자 레인지의 마이크로파로 합성 다이아몬드 제조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만들어 화제다. 이 대학 플라스마물리학과의 선임 연구원인 존 피고와 조 카찬 박사는 수소와 메탄가스 실리콘등을 합성한 다음 이를 전자레인지에 넣어 자라도록 했다는 것.두 사람이 다이아몬드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방법은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합성 다이아몬드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 ...
- 플라시보효과, 환자 3명중 2명꼴과학동아 l1993년 10호
- 플라시보 효과는 암이나 에이즈 등 심각한 병에서는 얻을 수 없다. 플라시보 효과(위약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그것이 어떻게 병을 치유하는지를 조금씩 밝 ... 천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한 바 있는 맨해튼의 시나이산의학센터 정신과의사인 아더 사피로 박사는 말했다 ... ...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없다)이고 그 옆에 계신 분은 우리들 전체의 은사이신 조준탁 박사(1회)다. 조 박사는 KAIST로 바뀐 한국 과학원(KAIS)의 3대 원장을 거쳐 지금은 한양대학교 명예교수다. 그리고 왼쪽에서 세번째가 필자.이 당시는 모두가 노벨상을 꿈꾸었을 것이고 물리학계에 큰 족적을 남기고자 했을 것이다. 물론 ... ...
이전6716726736746756766776786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