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계산기에서 생각하고 느끼는 기계로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지적인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컴퓨터에 지적능력을 이식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
자연
어 처리'분야가 대두되게 되었고 이러한 모든 연구작업을 통칭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연구라고 한다.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그 중간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으므로 ... ...
21세기는 레이저로 밝힌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①로부터 높은 에너지준위 ②로 올라간다. ②의 준위에 머무는 시간은 대단히 짧으므로
자연
방출에 의해 준안정준위 ③으로 떨어진다. 충분한 수의 원자가 준안정준위에 머물러 반전분포를 이루면, 유도방출에 의해 기저상태 ①로 떨어지거나(그림1의 (a)) 준위④를 거쳐 기저상태로 떨어지게 된다 ... ...
다윈은 과연 옳았는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끝없이 영원한 우주를 지지한다. 그곳에서는 우리보다 지력이 훨씬 뛰어난 창조자가
자연
스럽게 등장하는 것이다. 나의 동료 프레드 호일경도 나와 비슷한 생각을 밝힌 바 있다. 생명과 우주에 관한 우리들 지식의 현단계에 있어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서 어떤 형태의 창조든 그것을 굳이 ... ...
한반도의 잠재식생도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사는 그룹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식생이라고 한다.이 지도는 우리나라의 잠재적인
자연
식생도로서 온도대(溫度帶)에 따른 식생의 분포를 표시한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한반도의 식생이 지도처럼 돼있어야 하겠으나 도시화와 농지개발 등으로 인해 실제로는 차이가 난다.예를 들어 서울은 ... ...
설악산의 꽃과 나무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같은 연한 녹색의 꽃은 장관이다.이른 봄 대승폭포 입구의 산괴불주머니는 아름다운
자연
의 꽃길을 만들고 있으며, 늦은 여름에는 산등에서 금강초롱꽃의 화려한 모습이 나타난다.백담사 뒷쪽의 전나무숲은 그리 늙은 편은 아니지만 심산의 기분을 더 한층 돋아주고, 근처 습지에는 작은 녹색기둥을 ... ...
민물고기, 디스토마와 중금속 오염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민물고기가 잡혀 퍼득거렸고 그렇게 몇시간만 잡으면 한끼 반찬은 좋이 되었던 그런
자연
의 시대도 있었다.그러나 지금 시골의 냇물에는 고기가 없다. 우렁도 고동도 살지 않는다. 어쩌다 용케 살아 남은 몇마리의 고기가 발견 되기는 해도 이미 천렵을 하거나 아이들이 손으로 훔쳐 잡을 정도는 ... ...
지구는 더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피이드백, 즉 온실효과를 증폭시키거나 기후효과들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자연
스런 순환 과정들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그들은 몇가지 이상스럽게 들리는 의견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중의 하나는 대류권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면 많은 양의 바닷물이 증발하고 수증기는 이산화탄소보다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토나카이 무리를 거느리고 함께 지낸다. 평소에 거주하던 지역에서 토나카이 무리를
자연
상태로 방목하면서 같이 지내는 곳까지 가려면 끝이 없는 것 같은 넓은 타이가 지대 위를 헬리콥터로 3시간 이상이나 날아가야 할때도 있다. 토나카이 무리는 한곳에서 3∼4일 머물며 먹이를 충분히 뜯고 나면 ... ...
도버해협 해저터널 2백년의 꿈이 영근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2백년의 꿈을 간직한 도버해협 해저터널 공사는 금세기 안으로 끝을 맺게된다.유럽의
자연
장벽으로 '피레네'산맥, '알프스'산도 유명하지만 '도버'해협도 상당한 장애가 되어온 것은 사실이다. '가깝고먼 해협으로' 불려지는 이곳도 이제는 더이상 영불 양국의 교류를 막는 장애물이 될 수 없다 ... ...
조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따름이다. 한국고지소구 : 함경북도의 고준지대를 포함하는 이 소구는 지형이 높으며
자연
경관이 소련 우수리 지방과 중국 동북부 지방의 북부와 비슷하여 조류상은 한국 저지소구와 크게 다르다. 즉 멧닭, 세가락딱다구리 백두산쇠오색딱다구리 북방쇠박새 개미잡이 등은 저지대소구에서는 볼 수 ... ...
이전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