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은 최고의 화약 개발국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경주성 전투에서 비격진천뢰를 사용했는데 이런 종류의 무기를
처음
본 왜군이 크게 당황하고 후퇴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 이순신 장군의‘난중일기’에도 비격진천뢰를사용한 기록이 적혀 있지요.조선 시대에 이런 첨단무기를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우리나라가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근대 지도학의 창시자 루뱅 대학에서 수학 · 천문학 · 지리학을 공부하고 1538년에
처음
으로 세계지도를, 41년에는 지구의를, 51년에는 천구의를 제작했다1569년 네덜란드의 G 메르카토르가 세계지도를 그리기 위해 고안한 도법 원통도법에 속하며 정각이다경선은 등간격으로 평행한 직선이고 위선은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아무 상관이 없다.“손상된 뇌 기능을 수술로 복원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아예
처음
부터 생성되지도 않은 조직을 수술로 만들어낼 수는 없습니다.” 삼성서울병원 뇌종양전문의 박관 교수는 피질이형성증 같은 뇌 질환을 수술로 고칠 수 있냐는 물음에 고개를 가로저었다.대신 그는 현재 ... ...
도둑잡는 복잡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나비효과 모델로 설명된다.TV산업의 발전사도 복잡계 현상 가운데 하나다. 1926년
처음
흑백화면 방송이 시작된지 불과 한 세기만에 지금은 DMB방송이니 DTV방송이니 하는 TV홍수 시대가 됐다. 한동안 TV는 흑백TV가 시장을 지배하는 듯 보였지만 컬러TV가 나오고 컬러방송시간이 늘면서 미디어시장이 ... ...
IT꿈나무, ★나라행 티켓을 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꿈만 같아요.”호기심 반 기대 반으로 시작한 일이 이처럼 큰 행운으로 이어질 줄은
처음
에는 몰랐다. 전화로 당첨 사실을 통보받은 뒤에도 한동안 전혀 실감하지 못했다. 호화유람선을 태워준다고 해도 귀찮았을 것을, 하물며 허무맹랑하게만 들리는 우주여행 티켓을 따기 위해 장장 3개월간 계속된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백남준을
처음
만난 것은 1987년 겨울 뉴욕에서였다. 어떤 조각전시회에서 만나기로 약속한 그는 신문을 옆에 끼고 편안한 차림으로 화랑에 들어섰다. 도저히 거장의 모습이라고는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수수했다. 항상 허름한 노숙자 옷차림을 하고 다니는 바람에 약속 장소에서 쫓겨나거나 길에서 ... ...
지구를 둘러싼 거대한 자기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있으면 북쪽을 가리키기 때문이에요. 자석으로 만든 바늘, 나침반은 220년경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나침반을 손에 넣은 탐험가들은 미지의 대륙을 향해 거침없는 모험을 떠날 수 있었답니다. 그렇다면 나침반의 바늘은 왜 항상 남쪽과 북쪽을 가리키는 걸까요?16세기 말,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 ...
소나무가 죽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상태인 아시아와 유럽의 소나무숲은 손 쓸 겨를도 없이 쓰러져 갔어요. 우리나라에서
처음
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발견된 것은 1988년입니다. 당시 부산 금정동물원에서 일본원숭이를 들여온 것이 문제였어요. 원숭이를 운반하는데 사용된 우리가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로 만들어졌거든요. ... ...
미지근한(?)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온도가
처음
으로 밝혀졌다.영국 케임브리지대 게리 길모어 교수는 암흑물질의 온도가 1만℃라고 2월 3일 기자회견에서 밝혔다. 연구팀은 태양 핵의 온도가 1500만℃임을 감안하면 우주에서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온도라고 밝혔다. 암흑물질은 우주 전체 물질의 90%를 차지하지만 다른 물질과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안쪽의 구별이 없는 면(단측면〈單側面〉)임을 알 수 있다곡면의 이러한 성질을
처음
지적한 A F 뫼비우스를 기념하기 위해 이 곡면을 「뫼비우스의 띠」라고 부른다 1929~ 독일의 물리학자 뭔헨에서 태어나 뭔헨 공과대학에서 물리학을 배웠다 뫼스바우어 효과를 발견하고 61년 노벨 물리학상을 ... ...
이전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