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뉴스
"
실제
"(으)로 총 7,246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켜도 안전한 ‘갑옷 배터리’ 개발
2014.11.04
이번에 개발한 배터리가 지나갔을 때(오른쪽)은 손상이 없었다. - PNAS 제공 연구팀은
실제
돼지의 소화계 안에서 이 배터리의 안전성을 시험했다. 그 결과 일반 배터리를 썼을 때는 2시간 만에 소화계 조직이 손상을 입었지만, 코팅 배터리가 통과한 뒤에는 조직에 이상이 없었다. 로버트 랭어 MIT ...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4.10.31
Y 염색체가 지속적으로 줄어들었으며 현재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로 두더지들쥐나 일부 고슴도치는 포유류이면서도 Y 염색체가 완전히 퇴화돼 Y 염색체가 없는 종도 있다. 하지만 데이비드 페이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화이트헤드연구소 박사는 “2500만~1000만 년 전 Y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너무 가파른 증가세다(불과 한 세대 만에 평균이 5, 6센티미터 정도 커졌으므로).
실제
주변을 보면 대체로 아들이 아빠보다 딸이 엄마보다 키가 더 크다. 참고로 지난해 병무청 신체검사에서 평균 키는 173.6센티미터였다. 따라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명은 영양상태가 개선된 결과라는 것. ... ...
2014 노벨화학상 수상자 에릭 베치그 교수의 새 작품은?
2014.10.26
자기력선은 태양폭풍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알려져 왔다. 이번 주 네이처에는
실제
태양 코로나 물질 방출 뒤에 생기는 자기력선을 관측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타하르 아마리 박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 다이나믹스 관측소(SOD) 미션에서 얻은 ... ...
[채널A] 치명상 입은 환자 살리는 ‘스마트 안경’
채널A
l
2014.10.22
듣던 것보다 얼굴과 처치를 보면서 하기 때문에 수월하고 정확한 지도를 할 수 있고요.
실제
로 미국에서는 올해부터 구급차 200여 대에 구글 글래스를 장착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응급대원이 전화를 받으면서 한 손으로 응급처치를 해야 하는 부담도 덜어주기 때문입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심전도 ... ...
국산 ‘아이언맨’ 슈트 입으니 “50㎏ 배낭이 솜털같네!”
2014.10.22
동작을 시험해 봤다. 렉소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자 앉아쏴 자세, 쪼그려 앉기 자세 등
실제
군인들이 훈련에서 소화해야 하는 다양한 동작이 자연스럽게 나왔다. ●착용자 다리 동작 예상해 관절 움직이기도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군용 입는 로봇은 렉소를 포함해 2012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 ...
‘피겨 여왕’ 김연아의 발목, 우리가 책임질게요
2014.10.21
차이를 측정해서 가해지는 힘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 장치를 부착한 피겨화를 신고
실제
점프 실험을 한 결과 힘을 측정하는 정확도가 81%에 달했다. 데보라 킹 이타카대 교수는 “앞으로 착지 각도까지 인식해서 더 정확하게 충격을 계산할 수 있도록 보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매주 토요일, 우리는 멘토 만나러 간다
2014.10.19
자리를 옮겨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전사 활성을 빛의 세기로 측정하기도 했다.
실제
분자생물학 실험실에서 쓰는 실험 기법을 그대로 배워 본 것이다. 4일 오전 사이언스 오픈랩에 참여한 여고생들과 송윤선 숙명여대 약대 교수(맨 왼쪽)가 숙명여대 약대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 신선미 기자,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수업 방식이다. 모든 학생은 온라인 강의로 이론과 문제를 공부하고 수업에 참석한다.
실제
수업에서는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토론만 이루어진다. 이태억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이런 시도가 학생들의 창의성과 협업 능력을 극대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10월 17일자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멤리스터가 시냅스를 대체할 수 있을 거라는 이론을
실제
로 증명한 첫 사례”라며 “시각 기능을 지닌 뇌 신경 모방 시스템을 상용화하고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산업 전자 ... ...
이전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