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상
상등
기상
오르막길
오르막
오르기
d라이브러리
"
상승
"(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01
현재 북아메리카와 아시아 대륙은 바다로 나눠져 있지만, 최후 빙하기가 끝난 후 해수면
상승
에 의해 분리되기 전까지 베링 육교로 연결돼 있었다. 말의 선조가 이 육교를 건너면서 널리 퍼져나간 것이다. 원종인 북아메리카의 말은 8천년 전에 멸종됐지만, 전파된 지역인 아시아, 아프리카,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01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하지만 바닷물이
상승
한 부분을 달이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승
한 바닷물에 미치는 달의 인력은 지구자전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국 지구의 자전속도를 늦추게 된다(그림 3). 현재 지구의 자전은 조석작용에 의해 매 10만년 당 약 2초씩 느려지고 있다. 몇몇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12
알파파를 낸다고 밝혀졌다. 데아닌은 카페인에 의한 뇌 내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의
상승
을 억제해 흥분을 억제하고 혈압저하 작용을 나타낸다.카페인은 중추신경계에 대한 자극제로 작용한다. 이는 카페인이 신경전달물질의 체내 합성과 분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심장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11
85의 높은 상관관계가 관찰됐다. 즉 인권이 보장돼온 역사가 오래될수록 국민의 행복감이
상승
한다는 점을 얘기해주는 것이다. 인문사회과학이자 자연과학심리학에서는 이렇듯 체계적 관찰을 통해 계량적인 데이터를 얻고, 실험을 통해 마음의 원리를 탐구하는 등 자연과학적 방법론이 강조된다. ... ...
철새가 V자 비행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11
철새들이 장거리여행 중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체내에 지방을 축적하고 V자 비행을 해야 한다는 사실이 네이처 최근호에 발표됐 ... 뒤로 갈수록 날갯짓 횟수와 심장박동수도 낮았다. 이는 앞에 날아가는 새가 형성한
상승
기류를 뒤따르는 새들이 이용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11
환기 및 채광용이다. 비를 걱정할지도 모르겠지만 건물 안에서 구멍을 통해 나오는
상승
기류는 로마에서 뿌리는 비 정도를 옆으로 비켜 떨어지게 할 수 있다.높고 밝은 첨두 아치의 고딕 대성당돌로 만들 수 있는 극한 기술을 구현한 건축은 12세기 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고딕 대성당이다. 십자군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10
사라졌다. 신경섭 강릉지방기상청장은 “구름이
상승
기류를 타고 빠른 속도로 수직
상승
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바닷물이 물기둥을 이루며 구름으로 빨려올라가는 것으로 착각하지만, 강한 용오름의 경우에도 빨려올라가는 바닷물의 양은 아주 적다”고 말한다.기상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196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10
사시나무가 보통 자라는 곳은 햇빛에 많이 노출된 지역이다. 한낮 동안 잎의 온도는 쉽게
상승
하기 마련. 잎의 양도 많기 때문에 ‘달궈진 몸’을 식히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해야 한다. 결국 약한 바람에도 흔들리는 잎은 과도하게 달궈진 잎의 열을 식히는 동시에 뿌리로부터 잎으로 물을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10
20세기의 마이크론 디바이스를 대체할 21세기 나노 디바이스 제작에는 SPM의 역할이 지대하다. 반대로 새로운 나노 디바이스는 SPM의 기능향상에 도 ... 나노 디바이스는 다시 새로운 SPM의 기술을 탄생시킨다. SPM과 나노 디바이스의 상호
상승
작용은 나노과학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10
증가해 운동능력을 감소시킨다.체중의 2% 이상 탈수가 되면 운동중 심박수와 체온이
상승
하고, 수분손실량이 체중의 3-4%에 이르게 되면 신체활동력이 저하돼 장거리 유산소 운동능력이 20-30%까지 감소된다. 즉 체중이 70kg인 사람이 2L 가량의 수분을 잃으면 신체활동력의 저하된다는 것이다. 격심한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