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봇"(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생명의 흔적일까? 화성에서 유기화합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땅속에 묻혀있는 ●이암에 구멍을 뚫었어요. 그리고 이암에서 채취한 암석 표본을 로봇의 배에 있는 오븐에 넣고 600~800℃로 가열했지요. 그 결과 암석 표본에 들어있던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검출된 거예요. ●이암(泥巖) : 미세한 진흙이 쌓여 딱딱하게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제니퍼 아이겐브로드 ... ...
- Part 2.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모양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가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지요. 로봇을 이용해 여러 모양의 구애춤을 실험한 결과 일부 구애춤은 같은 종 내에서만 의미가 통하고, 또 다른 구애춤은 다른 종에게도 의미가 전달된다는 것까지 알아냈답니다.Q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 계획인가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의 기본, 알고리즘을 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코딩을 배워 보세요!햄스터 모양의 코딩 로봇 ‘코딩펫’을 기억하나요? 코딩펫은 로봇과 함께 놀면서 코딩을 배울 수 있는 장난감이에요. 이번에 소개하는 건 2세대 코딩펫, ‘밀키’예요. 코딩펫 밀키는 감정 코딩, 사고력 카드 코딩, 창의력 프리 코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코딩을 배울 수 있도록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소프트로봇 기술이 더 발전하면 인간과 점점 더 가까운 모습의 로봇이 나올 것”이라며 “여기에 소프트웨어인 AI를 넣으면 ‘실물’을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조금은 먼 미래의 일일 겁니다. 그런데 장 수석연구원은 “하드웨어 기술은 아직 물리적인 제한이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상용화를 위한 전기전자 안정성 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인허가가 끝나면 로봇과 함께 상용화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직 기술적·기계적 완성도를 높여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하지만 닥터 허준을 잘 발전시킨다면, 비단 척추뿐만 아니라 뇌, 기관지, 후두, 방광, 혈관 등 내시경 수술이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말했다. 57만20개 코어, 연산 성능 세계 13위 누리온은 인공지능(AI) 개발과 해저로봇, 항공기의 동역학 연구, 태풍 등 자연재해 예측, 신소재 개발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연구 시간의 단축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가령 타키온 II로 2개월 이상 걸렸던 계산을 누리온이 수행하면 단 하루 만에 ... ...
- [과학뉴스] 무선 곤충 로봇 ‘로보플라이’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무거운 이 로봇은 전선 없이 레이저로 동력을 전달 받아요. 레이저를 로보플라이에 쏘면, 로봇 안의 광전지가 이를 전기로 변환해 그 힘으로 날개를 퍼덕여 떠오르지요. 연구팀은 “로보플라이는 아직 이륙과 착륙만 할 수 있지만, 더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도록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마비된 남성 환자의 뇌 감각 피질에 마이크로전극을 이식한 뒤, 이를 로봇 팔과 연결해 로봇 팔의 손가락을 만졌을 때 그 감각을 느끼게 하는 데 성공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f8083 황 교수는 “예를 들면 검지손가락을 만졌을 때는 뇌의 감각피질에 A라는 전기자극을 주고, 새끼손가락을 만졌을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기계연구원과는 다리를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장애인을 위한 로봇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2018년 1월부터 시작된 수학자와 의사들의 의료수학 공동연구는 비뇨기과에서부터 피부과, 영상의학과 등 분야도 다양하다. 먼저 수학자들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의사들이 필요로 ... ...
- [과학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돼지 눈에 실험한 결과 로봇이 30분 만에 각막에서 눈 안쪽까지 파고들었다”며 “로봇의 크기가 매우 작아 안구에 상처를 내지 않고도 약물을 깊숙이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126/sciadv.aat438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