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만들었습니다. 모형에는 거주지를 이전했을 때 나타나는 황제펭귄의 행동, 이주하는 비율, 분산되는 속도 같은 변수가 쓰였습니다.연구팀은 이 인구 통계 모형을 이용해 우리의 거주지를 옮겼을 때 개체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2036년까지는 개체 수가 증가했지만, 2046년부터는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1000을 곱하면 크랭크축이 1분에 몇 번 회전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빠른 속도의 비밀은 비율실린더가 흡입할 수 있는 최대 기체의 양을 배기량이라 한다. 배기량이 크면 많은 연료를 태워 큰 힘을 낼 수 있으므로 빠른 자동차를 만들 수 있다. 배기량을 높이기 위해 실린더의 크기를 키우면 엔진의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참고로 저는 수포자였습니다.백분율(%)★ 전체 수량을 100으로 했을 때 그것에 대해 갖는 비율. 영어로 ‘퍼센트’라고 하는데 15세기 이탈리아어 ‘per cento'에서 유래했으며 ‘100에 대하여’라는 뜻이 있다. 퍼센트의 변신술퍼센트는 기사에서 승률, 증가율과 같은 확률의 단위로 자주 나옵니다. 수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해서 100% 면역이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백신을 맞았을 때 면역이 생기는 비율(E)을 수식에 추가하면 질병 확산을 막는 정확한 백신 접종률(VE)을 구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전염력이 큰 질병일수록 백신 접종률이 높아야 한다. ◀ 장티푸스 예방접종을 맞고 있는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분석은 프랙탈처럼 비슷한 형태가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구조가 이미지에서 어느 정도 비율을 차지하는지 분석하는 방법이다.악성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세포에 생긴 종양으로,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어디에나 발생할 수 있으며 점처럼 보인다. 일반적인 점의 경우 부드럽고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황 교수가 실제 실험한 도자기 시편들을 꺼내자, 가마 속 공기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비율에 따라 나타나는 색이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황 교수는 재료와 불, 공기, 유약을 바르는 두께 등 모든 변수들을 하나하나 바꿔가면서 새로운 유약을 만드는 연구를 15년째 하고 있다. 그의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경쟁 관계에 놓인 효모와 유산균이 어떤 비율로 살고 있을 때 빵 맛이 좋은지 찾고, 그 비율을 유지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김치와 막걸리 누룩에서 젖산만을 만들어내는 유산균을 찾아냈다. 서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는 상쾌하게 시큼한 맛을 자랑하는 사워도우 빵을 맛보게 될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오후 1시에도 공주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이길 확률은 남은 5시간 중 2시간에 해당하는 비율인 2/5야. 반대쪽의 승률은 3/5이나 되지. 시간이 흐를수록 내기에서 이길 확률은 줄어들고, 내 선택에 대한 후회는 커질 거야.후회에 관한 원칙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니? 알란 헤이젝 오스트레일리아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입장에서는 X군대에게 치명타를 준 정도를 계산하면 된다. 공격했을 때 치명타를 준 비율과 병력 수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유효사격율과 병력 수를 곱하면 된다. X군대의 전투력 손실 정도는 Y군대의 공격 성공률과 같다. 같은 방법으로 Y군대 기준으로도 식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다. 표에서는 세 가지 방법을 모두 한 번씩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각 방법을 사용하는 비율을 달리하며 더 쉽게 최적해를 찾는다. 복잡한 문제 풀 때 유용해계산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는 문제나 답을 찾는 방법이 밝혀지지 않은 복잡한 문제를 풀기 위해서다. 하모니 서치와 같은 최적화 기법은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