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이를 위해서는 여러 테스트와 많은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굉장히 빠른 슈퍼컴퓨터를 사용해서 작업했지요.” 우주선이 디모르포스와 충돌할 당시 DART 팀이 한곳에 모여 실시간으로 충돌 직전 상황을 지켜봤다고 해요. 우주선이 소행성에 정확히 충돌하자 그곳에 있던 모든 사람이 큰 소리로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스타버스트는 미국에 기반을 둔 우주 항공 분야의 스타트업을 전문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기업이다. 2012년 설립돼 현재까지 120여 개의 우주 항공 기업을 투자했다. 이런 스타버스 ... 자연을 더 잘 감상하기 위해 자연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물리학과 수학을 사용한다 ... ...
- [꿀꺽! 수학 한 입] 흩어지면 느리고 뭉치면 빠르다! 과자는 모두 몇 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공 모양의 진흙 조각이에요. 각 조각은 1부터 36000까지의 수를 의미했지요. 이 조각을 사용하면 물건을 사고팔 때 편리했어요. 만약 양 10마리를 거래한다면, 양을 10번 그릴 필요 없이 ‘10’을 나타내는 작은 구슬 조각 하나만 보여주면 됐거든요. 1을 의미하는 작은 고깔이 10개 모이면, 10을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생긴 자를 내리고 사진을 촬영했다. 쇄빙 패턴, 즉 얼음이 깨진 모양을 분석하는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다. 자는 검은색 노란색 패턴이 5cm 너비로 칠해져 있다. “얼음 조각은 가능한 작게 깨지는 것이 좋습니다.” 장 책임기술원이 말했다. 얼음 조각이 크면 쇄빙선 바닥의 프로펠러와 충돌할 때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화석을 찾기가 쉽지 않은 지층이며, 암반의 강도도 높아 주로 망치와 정, 얼음 송곳을 사용해 돌을 깨야 한다고 합니다. “실제만큼 화석을 찾기 어렵다면 누가 이 게임을 하겠어요?” 윤 연구원의 말입니다.나만의 박물관에 화석을 전시하자 화석을 발굴했다면, 이제 연구실에서 화석을 복원하고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리 몸 속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직접 볼 수 있는 바이오 이미징 기술에 사용됩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2000년대 초부터 연구를 시작해 2022년 1월 미국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 2022’에서 최초로 상용화 기술을 선보인 차세대 TV, 퀀텀닷 디스플레이는 0차원 나노 물질인 ‘퀀텀닷(양자점)’으로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변주했다. 그것은 양자 얽힘을 토대로 정보 지연 없이 태양을 바로 마주하는 듯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었다. 그들은 이미 그것으로 태양의 탄생 순간부터 멸망까지 모든 것을 보았을 것이다.정부는 법적으로 양자 망원경으로 예견할 수 있는 시간을 수 분으로 제한했으나, 재벌들은 도저히 들을 ...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제어한다면, 식물에 따라 광합성에 최적화된 빛을 만들어 농업 및 임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로퓸 : 화학 원소로 기호는 Eu, 원자 번호는 63이다. 자외선 아래에서 붉은색을 띈다 ... ...
-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수분이 날아가기 쉬워지므로 튀김을 바삭하게 만들려면 글루텐 함량이 적은 박력분을 사용해야 하죠. 임두원 박사는 “과거 인류가 사냥과 채집하던 시기에는 과일이나 채소, 벌레처럼 아삭거리는 식감의 음식을 많이 먹었기 때문에, 튀김에서 느껴지는 식감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추정한다”고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예를 들어 몸이 불편한 사람도 머릿속으로 명령만 내리면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고, 또 의족이나 의수를 원래 자신의 팔다리처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되죠. 또 카메라와 칩을 연결해 시각장애인의 머릿속에 심으면 카메라가 촬영한 장면을 마치 자신의 눈으로 보듯 볼 수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