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학습에 연립방정식이 들어온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OCR로 인식한 문장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과정이 바로
자연
어 처리죠.
자연
어 처리 과정을 통해 AI는 인식한 문제의 의미를 파악한 뒤 그 문제에 해당하는 풀이를 검색합니다. 또 같은 유형의 문제를 올리더라도 학생별로 적합한 난이도의 문제를 추천하는 데 기계학습이 쓰입니다. ... ...
본부로부터 온 메시지 : 수학적 고민을 공유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이름이 붙습니다. 웨어링 문제는 1909년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모든
자연
수는 9개 이하의 세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고, 19개 이하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증명했습니다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왜? 설악산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인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설악산 울산바위를 이루는 돌은 화강암! 지금 제가 올라온 바위의 이름은 ‘울산바위’입니다. 설악산은 강원도에 있는데 왜 이름이 먼 남쪽의 동네인 ...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
자연
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환경을 주제로 활동하는 작가들과 공동 전시를 시작했다. 장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연
의 소중함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생각해볼 기회가 생긴다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잘 조성돼 있는지 등이 아쿠아스케이프의 중요한 요소”라며 “아쿠아스케이프는
자연
의 한 부분을 옮겨놓은 듯이 생태계를 구현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돌려보냈다. 유난히 눈에 띄는 검은머리물떼새의 노란 부리가 부디
자연
에서 지극히
자연
스러워졌길 바란다. 김리현 공주대 특수동물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재활관리사로 근무하고 있다. 세상을 돌며 다양한 동물들을 마주하고 싶어 약 10개월의 여행을 떠났다. ... ...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단 한 명의 비서를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어. 이를 위해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자연
어의 문맥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능력을 갖춘 AI 플랫폼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해.2020년 10월에는 구글 클라우드 방식을 도입해 빅스비가 음성 인식 데이터를 학습하는 속도를 18배 정도 높이기도 했어.앞으로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분야에 이산수학을 적용했습니다. 이산수학은 점과 선으로 이뤄진 그래프나 격자 또는
자연
수처럼 연속적이지 않은 대상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로바스 교수는 아롄 렌스트라, 헨드리크 렌스트라 형제와 함께 컴퓨터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암호 알고리듬인 ‘LLL 알고리듬’을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게 없어요. 이곳 동식물 중에는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게 없거든요.”“네에? 먹다니요?
자연
을 보호해야죠!”“아, 당연하죠. 제 말은 먹으려고 해도 먹을 수가 없다는 거예요.”온종일 돌아다녀야 하니 아침을 든든히 먹어야 했다. 이새는 접시에 한가득 음식을 담아와 입 속에 욱여넣었다. 가이드가 ... ...
[그래프 뉴스]기후 변화로 3070만 명이 집을 잃었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020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3070만 명이
자연
재해로 집을 잃고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떠났어요. 2011년의 1500만 명과 비교하면 두 배나 늘어난 수예요. 이들은 기후 변화에 따른 홍수나 지진, 산불, 극심한 더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다른 도시로 이동했어요. 3070만 명 중 태풍과 홍수로 인해 집을 잃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