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답
정답
해답
해소
해결
해법
d라이브러리
"
정해
"(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돌먼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없으니 테라포밍 조건이 가장 좋은 – 비용이 가장 저렴한 – 코쇠1, 2를 유인행성으로
정해
개발했을 터였다. 코쇠1부터 코쇠7이라는 작명부터가 성의 없었다. 대부분 행성들은 대개 최소한 행성 이름이라도 따로 갖고 있었다. 17세대. 본사의 생계지원프로그램은 20세대에서 끝난다. 이미 본사는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필요한 비용을 90% 가까이 줄일 수 있지요.이에 블루 오리진은 우주선과 분리된 뒤에 다시
정해
진 장소로 착지하는 발사체를 개발했어요. 그리고 2015년 11월에 발사해 지상으로 착륙시킨 발사체를 한 달 뒤인 12월에 재사용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제 발사체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게 된 거예요.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초창기부터 기관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구글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정해
지지 않았지만 LSST에서 만들어진 방대한 데이터를 대중에게 어떻게 서비스할지, 구글이 관심이 많을 걸로 예상한다. Q. 방대한 관측 자료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역대 추진된 천문학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큰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더 많이 먹을 수 있도록 연구하는 곳이지요.국립수산과학원은 뱀장어를 인공수
정해
서 부화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그리고 더 빠르고 건강하게 키우는 기술도 개발했답니다. 연구가 계속되면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더 저렴한 가격에 뱀장어를 먹을 수 있게 된다고 해요.수산과학관에 놀러와~!지금까지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기존에 해왕성 바깥에서 발견한 천체들은 해왕성의 중력 영향을 받아 궤도가
정해
졌는데, 세드나는 예외”라면서 “세드나는 태양계가 형성된 뒤 오르트 구름에서 태양계 내부로 들어와 붙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으로부터 약 1000~10만AU 떨어진 곳에 있을 것으로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동물관리·사용 기관심의위원회에서 허용한 최대 크기인 15mm보다 컸어요. 최대 크기를
정해
놓은 이유는 종양이 기준치보다 커질 경우 실험동물이 느끼는 고통이 너무 크기 때문이에요.결국 네이처는 논문에서 해당 실험의 내용을 삭제하도록 했답니다.암세포가 자란 실험용 쥐의 모습.암세포의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싸와 먹는다. 이때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개인이 자신의 점심시간을 마음대로
정해
식사를 한다는 것. 시간을 자율적으로 사용해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밖에도 아이가 아프거나 부모님이 편찮으실 때 병가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복지 제도가 탄탄하게 마련돼 있다. 이 ... ...
[Editor’s note] 모르는 재미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바뀔 겁니다. 자연스러운 일이지요.수학은 이런 불확실성과는 상관이 없어 보입니다.
정해
진 대로 계산하면 언제나 똑같은 답이 나옵니다. 문제를 풀 때마다 답이 다르게 나온다면 재미있다고 생각하기는커녕 어디서 틀렸는지 답답할 거예요.그런데 불확실성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수학자도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의사난수’라고 한다. 사람이 보기에는 어느 정도 무작위해 보여 난수로 취급하지만,
정해
진 알고리즘으로 만들기 때문에 진짜 난수는 아니다. 그래서 ‘난수를 흉내낸 것’ 또는 ‘가짜 난수’라는 의미로 의사난수라고 한다. 즉 폰 노이만의 방법도 예측 가능하다는 점에서 진정한 난수가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아니라 알을 낳고 새끼를 돌보는 행동도 닮았습니다. 새에게 알을 낳는 지역이 따로
정해
져 있듯 공룡도 아무데서나 알을 낳지 않습니다. 알을 품는 것도 공룡과 새의 공통점입니다. 몽골에서 발견된 오비랍토르는 알을 품은 채로 죽어 화석이 됐습니다. 처음에는 남의 알을 훔치다 죽은 줄 알았지만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