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다. 영상을 본 조정찬 가천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아이돌 안무 일치율을 분석한 것은) 이미지 분석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좋은 사례”라며 “현재는 동작이 겹치지 않는 부분만 편집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키 프레임 분석 등을 통해 사전 ...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경제성을 이유로 연구개발이 많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인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난치병인 신경모세포종을 과학자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또 환자 보호자의 시선으로 살펴본다. ● Science Book 동아사이언스가 소개하는 해외의 ...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전염병이 미래에 또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지난해 3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생물학과 에린 모데카이 교수팀은 기후변화가 지금처럼 계속된다면 열대 지방의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가 50년 안에 북미와 동아시아 등으로 와서 지카와 황열병 같은 위험한 질병을 옮길 거라고 예측했어요. ...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슈퍼버그를 이겨내기 위한 약물도 개발되고 있어요. 2015년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생물학과의 킴 루이스 교수팀은 내성을 만들지 않는 항생제 ‘테익소박틴’을 발견해 큰 주목을 받았어요. 테익소박틴은 2018년 동물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지요.지금껏 세균에게 내성을 일으킨 항생제 대부분은 ... ...
- [특집] 두 장, 더 깨끗한 화장실, 더 빨리 이용하기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인 바우터르 로히스트 벨기에 겐트대학교 통신및정보처리학과 교수팀은 왜 여자화장실 줄이 남자화장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지를 밝히고 총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발표했어요. 대기행렬이론은 여러 형태의 대기 행렬을 수학적으로 다루는 이론이에요. 20세기 초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여름방학이라 쓰고 '인턴십'이라 읽는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하는 것만으로도 이번 인턴십이 충분히 좋다.나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공대 컴퓨터과학과 학생들은 대부분 이런 식으로 여름방학을 보낸다. 인턴십을 하는 회사는 다르지만, 낮에는 일하고 퇴근 후에는 개인 공부, 프로젝트, 대회 준비를 한다. 물론 주말에는 여행을 다니며 머리도 식히지만 말이다 ... ...
- [특집] 한 장, 10년 묵은 변기에서 태어난 귀신과 화장실 휴지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지켜줄 확실한 대안일까요? 노바리오 연구원의 모형을 검토한 김현규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현재 주어진 식만으로는 결론을 내기 어렵다’고 평가했어요. 최적화 문제를 풀려면 변수 사이의 관계식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 노바리오 연구원의 설명에는 이 부분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죠.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최신 기술들은 뉴미디어아트와 서로 함께 발전하는 관계입니다. 예술과 수학, 과학, 공학과의 융합을 선도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연구소 ‘미디어랩’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면 그 기술로 예술 작품을 만듭니다. 예술가가 참신한 발상으로 기술을 활용하는 점을 이용해 생각하지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세상’도 AI가 감정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때 가능하다. 2017년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tvN 예능프로그램 ‘알쓸신잡’에서 “AI가 인간을 지배하려면 AI 스스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오래 살고 싶다는 욕심이 있어야 하며, 오래 사는 데 인간이 방해된다고 생각해야 하는데 이는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만드는 연구 결과가 하나 발표됐다. 드라가나 로굴자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생물학과 교수는 잠을 자지 못하면 뇌와 상관없이 장에 활성산소(ROS)가 축적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0.04.049로굴자 교수는 초파리를 대상으로 잠을 자지 못하게 했을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