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필수경제] 서민의 소울푸드, 아아와 떡볶이의 배신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전 세계 밀 생산량은 중국, 인도, 러시아 순입니다. 전쟁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7위)는 밀 수출이 막혔습니다. 그런데 전 세계 밀 생산량 2위 국가인 인도의 밀 생산에도 문제가 생겼습니다. 지구온난화로 121년 만의 폭염이 발생한 것이죠. 밀 수확이 힘들어졌고, 인도 정부는 5월 13일 돌연 밀 ... ...
- [융복합@파트너]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수 있다”고 말했다. 엔맵은 기존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전력 관리 기술에 비해 최대 35.7% 전력을 절감했다. doi: 10.1145/3466752.3480098한편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방법도 있다. 김 교수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평균 메모리 사용량은 40~60%로 절반은 사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 ...
- [가상 인터뷰] 꿀꿀! 돼지의 울음소리에는 감정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자기소개 부탁해! 저는 감정에 따라 울음소리를 다르게 내는 농장 돼지입니다. 3월 7일에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생물학과 엘로디 브리퍼 교수팀은 돼지의 울음소리를 분석하면 돼지의 감정을 알아낼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돼지 411마리의 7000개가 넘는 다양한 울음소리를 ... ...
- 쉽게 화살표+숫자 보면 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미국 플라스틱산업협회(SPI)에서 플라스틱을 쉽게 구분하기 위해 재질에 따라 1부터 7까지의 숫자로 나타낸 기호이지요. 숫자는 전 세계 어디서나 똑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숫자의 의미만 알면 올바르게 분리배출할 수 있답니다 ... ...
- [특집] 7월 5일 4시 주목! 존 필즈도 깜짝 놀랄 수학의 역사가 다시 써진다!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수학자들이 다 모인 거네. 축제다, 축제!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7월 5일 4시 주목! 존 필즈도 깜짝 놀랄 수학의 역사가 다시 써진다!Part1. [특집] 수상자는 누구? 2022 필즈상 대예측Part2.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 ...
- [특집] 수상자는 누구? 2022 필즈상 대예측수학동아 l2022년 07호
- 4년마다 열리는 전 세계 수학자들의 축제! 세계수학자대회(ICM)가 7월 5일 그 화려한 막을 엽니다.ICM에서 수학자들이 가장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은 ‘필즈상’ 시상식이에요. 도 1월부터 각종 정보와 수많은 취재원을 동원해 총 10명의 필즈상 후보를 예측했어요. 도대체 필즈상이 뭐기에 ... ...
- [가상 인터뷰] 꿀벌도 홀짝 구별한다!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연결할 줄도 압니다. 이번엔 호주 공동 연구팀이 여러 실험 끝에 저와 제 친구들이 1, 3, 5, 7, 9 같은 홀수와 2, 4, 6, 8 등 짝수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Q. 어떤 실험이었나요? 먼저 연구팀은 꿀벌을 A와 B그룹으로 나누고 1~10개의 도형이 그려진 카드를 보여줬어요. A그룹의 경우 도형이 ... ...
- [특집] 테라·루나 왜 폭락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07호
- ● 강형석 전 테라폼랩스 개발자 인터뷰 언제부터 테라폼랩스에서 일하셨나요?2020년 7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동안 테라폼랩스에서 일했어요. 삼성리서치 아메리카에서 인턴을 마치고 한국에 왔다가 테라폼랩스에 다니던 한 직원의 추천으로 입사하게 됐습니다.당시 테라폼랩스에는 테라-루나가 ...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살피며 등산하는 법아시아 각국의 탐험가들은 행사 첫째 날인 6일 워크샵을 진행한 뒤, 7일 제주도의 람사르 습지 네 곳 중 하나인 동백동산을 탐험했다. 람사르 습지는 보호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돼 ‘람사르 협약’에 의해 지정된 습지다. 행사를 기획한 안재하 내셔널 지오그래픽 소사이어티 ... ...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미국의 인지심리학자 조지 밀러에 따르면 사람이 한 번에 기억할 수 있는 정보는 평균 7개, 개인에 따른 편차를 고려해도 5~9개다(밀러의 법칙). 하지만 이 능력도 노화에 따라서 자연히 감소하게 된다. 유 교수는 “밀러의 법칙은 화면에 있는 정보량을 정할 때도 중요하지만, 사용 절차를 설계할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