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독자"(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환지통 역시 이런 뇌의 배선 오류로 설명할 수 있는데, 지면 관계상 생략한다. 궁금한 독자는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어보기 바란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정말 ‘소설보다도 재미있는’ 책이다! 두 가지 압력 센서 넣은 전자피부 패혈증으로 조직이 괴사해 절단한 왼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않을 수 없다. ‘잘 그리긴 했지만 나도 미술을 배우면 저 정도는...’이라고 생각할 독자도 있겠지만 당시 상황을 떠올려보라. 멀리서나마 사자를 보고 그린 것도 아니고 컴컴한 동굴에서 횃불을 들고 오직 기억에 의존해 그린 그림이다! 왼쪽은 적어도 6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그린 것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영향을 받을 것이다. 그럼에도 ‘여기 나오는 ‘이 사람’이 나 아냐?’라고 생각하는 독자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필자가 다소 장황하게 카페인의 반감기 효과를 설명한 건 커피 말고도 많은 기호식품에 카페인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숙면을 방해할까봐 커피를 자제하는 사람들도 콜라나 초콜릿 등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않을까? ‘그렇게 따지면 네안데르탈인이 더 똑똑한 것 아닌가?’ 이렇게 반문할 독자도 있을 것이다. 실제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평균 뇌 용량은 1600cc로 호모 사피엔스 남성 평균 1350cc보다 더 크다. 물론 이에 대해 과학자들은 뇌의 크기뿐 아니라 구조도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4배체(AABB)이고 빵밀은 6배체(AABBDD)다. 밀 게놈 진화는 다소 복잡한 주제로, 관심이 있는 독자는 를 읽어보기 바란다. 밀은 밀속(屬) 식물을 통칭한 이름으로 여러 종이 있다. 밀의 진화를 재구성한 결과 2배체(diploid)인 야생밀(T. urartu)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없었음을 양해해주기 바란다. 아무튼 가곡을 들어보면 ‘아하, 이 노래!’라고 반응할 독자들도 꽤 될 것이다. 이날 무어가 영감을 얻은 장미는 50여 년 전인 1750년 무렵 유럽에 소개된 중국의 장미품종으로 올드 블러시(Old Blush)라고 불렸다. 이 장미는 분홍색 꽃이 늦은 봄부터 가을까지 여러 ... ...
- 일단 '시간통일'부터? 남북한 표준시 다른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8.04.29
- 있지만, 북한의 시간은 우리보다 30분 늦다. 2015년, 일본과 같은 표준시를 쓰지 않겠다며 독자적인 평양표준시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그러던 북한이 다시 우리와 같은 서울표준시를 쓰겠다고 밝혔다.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29일 오전 춘추관에서 남북정상회담 결과 관련 브리핑을 하고 ...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과학동아 l2018.04.26
- 지질관련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급 논문은 대부분 중국과의 공동연구결과로, 북한의 독자적인 연구결과는 거의 없다. 고 단장은 “북한에서 발간하는 정기간행물이나 단행본을 분석해보면, 분야별 북한의 기술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가장 큰 문제는 열악한 인프라와 관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하는데 그동안 제산제에만 의존해야 하는 걸까. 위산과다로 병원을 찾은 경험이 있는 독자들은 다른 약을 처방받았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즉 위산 분비 자체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는 이미 나온 위액을 중화하는 제산제보다는 한 수 위의 책략이다. 그렇다면 이 약물은 어떻게 작용할까.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없다" 호킹은 우주를 지배하는 법칙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연구해온 역사를 독자들에게 전달해야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그는 1988년 대중서인 ‘시간의 역사’를 출간했다. ‘시간의 역사’는 40개 언어로 번역돼 전 세계에 1000만 권 넘게 팔렸다. 하지만 어려운 내용 탓인지 오늘날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