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스페셜
"
별
"(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
2016.12.21
제안하는 논문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들의 논문은(앞서 나온 두 논문을 포함해서) 당시
별
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67년 키블은 학술지 ‘물리학 리뷰’에 대칭성 깨짐 메커니즘을 일반화한 단독저자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아이디어는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한 전기약력 이론을 만드는데 도움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있다. 메타개체군 분야를 개척한 생태학자 일카 한스키(Ilkka Hanski)가 지난 5월 10일 63세로
별
세했다. 1953년 핀란드 렘페레에서 태어난 한스키는 전원에 위치한 할아버지 집에서 나비와 나방을 채집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당시 헬싱키대의 유전학자 에스코 수오말라이넨이 할아버지 집에서 희귀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5)해양 역사를 재구성한 '해리 엘더필드’
2016.12.18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
2016.12.16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함께 밀도함수이론의 기초가 되는 ‘호헨버그-콘 밀도 정리’를 만들었다. 이들은 개
별
전자가 아니라 응집물질 표면의 전자 밀도 분포를 구해 물질의 특성을 밝힐 수 있음을 보였다. 이듬해 미국으로 돌아온 콘은 박사후연구원 루 샴과 함께 밀도함수이론으로 응집물질의 특성을 계산할 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
들](1)분자화석으로 지구 역사를 재구성한 화학자, 지오프리 에글린턴
2016.12.12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건 아님에도 극적 효과를 위해 이런 이름을 붙인 듯하다. 반면 비렘수면은 정상 생쥐와
별
차이가 없었다. 게놈에서 변이가 일어난 부분을 확인한 결과 14번 염색체에 있는 Nalcn 유전자의 엑손에서 염기 하나가 티민(T)에서 아데닌(A)으로 바뀌어 있었다. 그 결과 315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라긴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된다. 즉 수용체 유전자가 400개라는 말이다. 따라서 이 가운데 몇 개가 고장 나도 사는데
별
지장이 없다. 실제 다른 감각 수용체 유전자에 비해 단일염기다형성(SNP), 즉 변이가 많이 일어나 있다. 그 결과 같은 수용체라도 유전자가 A형은 인식하는 냄새분자를 B형은 인식하지 못할 수가 있다. 결국 똑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