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건물을 지으려면 역학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다리 건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역학을
이용
해서 시속 200km짜리 태풍이 와도 무너지지 않는 다리를 만드는 것이다. “과학자들의 활동이 우리나라에 엄청난 성장 에너지를 줘. 그런데 그냥 연구원이 아니라 어떤 분야를 할 건지 찾는 게 중요해.” L학생은 ... ...
부등식의 형태 변형-SOS 정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만나볼 수 있습니다.부등식은 대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절대부등식을 그대로
이용
할 수도 있지만 대다수 부등식 문제는 주어진 식을 변형해서 푼다. 형태 변형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접하고 연습해야 한다. 이번 호에서는 형태 변형 중 많이 ... ...
지구과학 - 망원경으로 본 천문학의 발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망원경 400년의 역사를 통해 망원경의 발전이 천문학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본다. 망원경의 발전은 때로 한계에 다다랐지만 과학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
해 한계를 극복했다. 오늘날 망원경에는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천문학 발전의 전망을 살펴보자.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235U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작은 구멍을 통해 나오는 기체의 분출을
이용
한다. 우라늄을 플루오르와 반응시켜서 휘발성이 강한 화합물 UF6를 만들고 이것을 다공성 막에 통과시켜 235UF6의 비율을 높였다. 235UF6분자가 238UF6분자보다 가볍다. 그래서 235UF6분자가 먼저 막을 통과한다.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새가 부리로 쪼는 것처럼 보여서, 포식자라도 겁을 먹게 된답니다. 걷는 상어지느러미를
이용
해 얕은 암초를 따라 걷는 상어예요! 2006년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이 상어는 살금살금 걸어가 새우와 게, 달팽이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어요. 앉아서 받아먹는 여치이 여치는 왜 잎사귀 아래에 앉아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방해석과 같은 돌이 된다는 이야기를 기억하고 있지?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이용
해 시멘트의 원료인 석회석을 만드는 방법이야. 실제로 미국의 칼레라사가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바닷물 속의 마그네슘이나 칼슘과 결합시켜 시멘트를 만드는 방법을 찾아 냈단다. 가까운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위로 올라갈수록 점점 얇아져 천정에 뚫린 지름 9m의 구멍에 이르면 1.2m가 된다. 아치를
이용
해 무게가 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하면서도 위쪽의 무게를 줄이는 지혜가 돋보인다.그뿐만 아니라 판테온은 미켈란젤로가 천사의 설계라고 극찬할 정도로 완벽한 구조다. 판테온의 높이와 돔 내부의 ... ...
PART 3. 우리가 미래의 F1 국가대표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비슷하다. F1 모형 자동차 만드는 발사나무 F1 모형 자동차는 비중이 0.2인 *발사나무를
이용
한다. 이는 오동나무보다 가볍다. 발사나무는 주로 바다 위에 띄워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나 구명도구, 모형 비행기나 자동차를 만들 때 쓴다.우승보다 더욱 값진 것세 사람의 꿈은 최종 우승하는 것이라고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줄었다, 나무젓가락으로 만든 쌍곡면학생기자인 재호 군이 선택한 곳은‘나무젓가락을
이용
한 쌍곡면 만들기’부스다. 재호 군은‘쌍곡면’이 무엇인지 궁금했고, 직선인 나무젓가락으로 곡면인 쌍곡면을 만들 수 있다는 말에 호기심이 발동해 이 전시부스를 선택했다. 나무젓가락으로 어떻게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모습을 찍을 수 있다. 가슴과 배는 물론 전립선이나 자궁,난소 등을 촬영할 때 많이
이용
된다. 그는 음악을 즐기면서 좋아하는 천문학을 잘 알려는 욕심으로 혼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이때 익힌 수학이 컴퓨터 단층촬영기술의 원리를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한편 수학책이 ... ...
이전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