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 천문가가 NASA의 오류를 지적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에 대해 이 오존구멍을 측정한 인공위성 님부스7호의 프로젝트담당자인 리처드 맥피터
박사
는 자신들의 부정확함을 인정했다.NASA의 오차는 두가지 원인 때문이다. 첫째는 님부스 자체가 갖고 있는 2% 정도의 측정오차를 들 수 있다. 둘째는 지난 91년 필리핀에서 발생한 피나투보화산의 폭발로 인한 ... ...
X선 기술로 미이라를 영상화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참조해 미이라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영박물관의 이집트전문가인 제프리 스펜서
박사
는 "제니가 헤로도투스의 기록이 정확함을 입증하고 있다"고 밝힌다.또 제니의 3차원 영상은 그녀가 몸에 간직한 일련의 부적들까지 보여준다. 제니의 가슴에는 매모양의 부적이 놓여 있었고 발 위에 있는 ... ...
장회익·모혜정 부부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여기에 어릴 때부터 관심이 있었던 철학을 접목시키고 있지요. 국내에선 어떤 학자가
박사
학위를 따면 그 분야만 일생동안 파고드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이런 풍조가 지속될 경우 학문의 폭이 좁아지고 학문간의 연계도 어렵게 될 것입니다."그는 현재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듬해인 1968년 '네이처'지에 실렸고, 그 이후 5백여개의 펄사가 발견됐다.벨 버넬은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사우스햄튼 대학으로 옮겼다가 1973년에 멀라드 우주과학연구소로 갔다. 그곳에서 그녀는 X선 천문학에 열중해 놀라운 발견들을 많이 얻어냈다.그녀는 회고하기를 "당시에는 새로운 발견을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두개의 신혜성을 발견한 적이 있는 베테랑 아마추어다.스위프트-터털 혜성은 머스덴
박사
의 추정치보다 약 보름 늦은 12월 12일 근일점을 통과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혜성의 주기는 약 1백 35년으로 다음 회귀는 2127년 경이 될 것으로 보인다.혜성이 발견된 후 약 10일 후인 10월 초순에 국내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기후와 토양은 바늘과 실의 관계. 기온과 수분양은 전혀 다른 흙을 만들어 낸다.세계의 곳곳을 여행하거나 영상매체를 통해 이국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제는 '아마존'하면 수목으로 빽빽이 들어찬 열대우림의 정글을, '케냐'하면 얼룩말과 기린이 풀을 뜯고 있는 사바 ... ...
3천만년전 화석에서 DNA복원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아래층. 이 흰개미화석을 발견한 사람은 이 연구소 팀의 크리슈너 연구원과 그리마르디
박사
.DNA가 적출된 흰개미에는 Mastotermes elecfrodominicus(도미니카 호박 가운데서 발견된 원시 흰개미)라고 하는 학명이 붙여졌고, 신발견 종(種)으로 인정되었다.지금까지 흰개미는 바퀴로부터 진화한다는 것이 ... ...
행글라이딩 무료교육 실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스포츠이면서도 첨단과학을 기본으로 한다. NASA(미국 항공우주국)의 연구원이던 로갈로
박사
가 우주선 캡슐 회수용으로 델타(삼각형) 모양의 행글라이더를 연구해오다가 60년대 후반 몇몇 스포츠 엔지니어들이 로갈로의 논문을 발견함으로써 빛을 보게 됐다.행글라이더는 초기의 로갈로 형태에서 ...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없다고 한다. 부인 구혜영씨도 그와 함께 같은 학교에서 유학생활을 했는데, 신경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같은 과에서 강사로 강단에 서고 있다.김훈수 교수는 요즘 연세대 원주분교에 출강하며 주로 자연생태계와 환경에 대해 집필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내고 있다 ... ...
소아 당뇨병과 우유는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를 게재해 주목되고 있다.영국 런던 소아병원의 한스 마이클 도시
박사
가 팀장인 캐나다와 핀란드의 합동연구팀은 모유가 아닌 우유를 먹고 자란 아이들에게는 소아당뇨병이 많음을 발견했다. 우유 성분의 일부인 단백질 조각이 면역반응을 일으켜 췌장의 인슐린 생산 ... ...
이전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