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692건 검색되었습니다.
20살 하나로 원자로…한국 연구용 원자로 기술 산 증인
2015.05.12
내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있다. 하나로는 원자력연구원이 자력으로 건조했지만
기능
면에서는 세계 정상급 연구로로 통한다. 대부분의 연구용 원자로는 특정한 목적을 갖고 설치된다. 원자로에서 쏟아져 나오는 중성자를 이용해 각종 물질 분석 실험을 할 때는 냉중성자 연구용으로, 의료용 ... ...
뇌
기능
모방해 생각 읽어내는 하드웨어
2015.05.12
교수, 추명래 연구원(왼쪽부터).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
기능
을 모방해 사람의 생각을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병근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전공학부 교수는 이보름 의료시스템학과 교수팀과 함께 사람이 생각할 때 발생하는 뇌파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하드웨어를 ... ...
초기 단계지만… “당신이 어느 매장으로 갈지 다 알아요”
동아일보
l
2015.05.11
영화에서는 홍채로 개별 소비자를 인식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기능
으로 고객을 구별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일단 소비자의 ‘정체’를 확인하기만 하면 유통업체는 고객과 관련된 빅데이터를 분석해 순식간에 그가 좋아할 만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단순한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커튼’처럼 물질 뿜는다
2015.05.10
사실을 의미한다. 사람의 세포가 가진 유전체는 동일하지만 각 장기의 모양은 물론
기능
도 다르다. 같은 유전체로 상이한 장기를 만드는 원동력 중 하나가 단백질의 발현이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은 장기 별로 단백질의 발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프로젝트인 ‘GTEx(notype-Tissue ... ...
냉장고가 저절로 걸어오는, 2035년 미래 전망
2015.05.08
불편이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의도까지 알아채도록 인지
기능
이 크게 향상된다. 자연어 음성인식 기술의 진보로 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용자의 서투른 외국어 발음을 교정할 수도 있다.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운전 중 대화를 주고받는 비서로 변신한다. 자동 ... ...
쿵쾅쿵쾅 볼륨 높은 클럽에서 귀 안 먹는 이유
2015.05.07
1시간이 적당하다고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 권고사항을 지키지 않아도 우리 귀의
기능
이 쉽게 손실되지는 않는다. 미국 연구진은 소음에 장시간 노출돼도 우리 몸이 그 환경에 맞게 적응해 청력을 유지하려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매튜 수 프리드먼 미국 버팔로대 생명과학과 ... ...
대면적 유기반도체 제작 길 열렸다
2015.05.06
균일하게 만들기가 어려웠다. 쉽게 말해 반도체 소자 100개를 만들면 그중 20~30개는
기능
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면적 유기반도체 박막을 만들어도 불량품이 많아지는 것이다. 유기반도체 소자 사이는 독립적으로 유지하면서 전극(동그라미 안쪽 긴 막대와 짧은 막대) 사이 채널에는 반도체 박막을 ... ...
자기 혼자 걸어와 침대 앞에 딱~ ‘아이언맨 슈트’ 개발
2015.05.06
방식으로 동작을 예측하고 보조한다. 연구팀은 현재 로봇의 자율 보행
기능
과 인체 착용
기능
을 완성했으며, 앞으로 안정성을 높여 최대 체중 80kg의 사람이 입고 시속 2km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또 카메라로 주변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시각 처리 기술도 추가로 도입할 계획이다. ... ...
이래도 화성에 가시겠습니까?
2015.05.05
주고받는 부위인 가지돌기의 훼손이 두드러졌다. 이런 증상은 심각한 뇌종양으로 인식
기능
에 장애가 생긴 환자들에게서 나타난다. 방사선을 쪼인 쥐들은 기억과 학습능력을 알아보는 시험에서 점수가 현저히 낮아졌다. 이번 연구는 장기간 사람이 우주에서 머물 때 일어나는 신체 변화를 확인하기 ... ...
과일과 쌀밥, 다이어트에 더 큰 적은?
2015.05.05
뒤 사람들의 반응을 비교했다. 고칼로리 음식을 보여주고 실험 대상자들의 뇌 반응을
기능
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하자 과당을 섭취했을 때 안와 전두피질(orbital frontal cortex)과 시각피질(visual cortex)이 특히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당을 섭취했을 때가 포도당을 섭취했을 때 보다 ... ...
이전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