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d라이브러리
"
다른사람
"(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최근 국제유가가 연일 치솟아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섰다. 이 뉴스로 전세계인은 한겨울 난방비부터 걱정했다. 그런데 유가 못지않게 날이 갈수록 값이 뛰는 것이 하나 더 있다.최근 달러 가치가 낮아지자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미국은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준비가 돼 있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초대륙의 중심에서 뭔가 나를 부르고 있어!"그곳엔 지구 역사의 엄청난 비밀이…prologue2억5000만 년 뒤, 지구엔 하나의 거대한 대륙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바다만 있다.낮부터 강력한 모래바람이 다시 일어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다. 목적지를 바로 눈앞에 두고 발이 천근만근 무거워졌다. 탐험을 시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이상하게도 불행에 대한 영화는 행복의 조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행복에 관한 영화는 대부분 인간이 불행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마침표를 찍는다. 그렇다면 행복이란 불행하지 않은 상태를 포괄하는 감정인가? 과연 행복이란 무엇일까?▒ 윌 스미스 주연의 영화 ‘행복을 찾아서’는 불행에 관한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안녕하세요. CBS ‘꿈과 음악 사이에’ 조진원입니다. 오늘의 신청곡은 경기도 고양시에 사는 오수정 씨(가명)가 보내오셨습니다. 1982년 6월 4일 조진원, 홍종임의 ‘사랑하는 사람아’를 꼭 틀어달라고 하셨군요. 소중한 연인에게 들려주고 싶다는 사연 함께 적어주셨습니다.”커다란 LP판이 춤추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8년째 ‘행복’을 연구하고 있는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소냐 류보머스키 교수는 행복을 ‘추구’하는 대상이 아니라 ‘창조’하거나 ‘만들어가야’하는 그 무엇이라고 주장한다. 삶을 살 만한 가치가 있게 만들어주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인 ‘긍정심리학’은 의지만 확고하면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K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경과학센터▒ 1350 : 1.사람과 생쥐의 뇌 무게(g)를 비교한 값이다. 두 주먹을 합친 크기의 사람 뇌와 콩알만 한 생쥐 뇌를 놓고 보면 사람이 만물의 영장인 이유를 실감할 수 있다.“물론 사람과 생쥐의 뇌는 다른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의외로 비슷한 부분도 많습니다.”한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기후변화를 억제하려는 세계적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위 40개 산업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미국과 러시아의 배출량이 최근 증가한 것이 큰 이유다. 지구형행성, 위성, 기타 암석질 천체의 표면에 운석충돌에 의해 생긴 구덩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생긴 함몰지형으로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지난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최악의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해상 크레인이 정박중이던 홍콩 선적 유조선과 충돌하면서 유조선의 기름탱크에서 원유 1만2547㎘가 유출된 것. 사고 발생 닷새째인 12월 11일 사고현장인 만리포를 찾았다.“만리포 4km.”이정표 속 숫자가 줄어들수록 가슴은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추운 겨울, 고춧가루를 훌훌 풀어 끓여낸 얼큰한 동태매운탕을 먹고 나면 움츠렸던 몸까지 확 풀린다. 이마엔 땀방울이 송골송골 맺혀 있다. 식당 문을 나서며 입가심으로 박하사탕 하나를 입에 넣는다. 순간 매운 열기가 남아있던 입안이 박하향과 함께 시원해진다.우리 몸은 주위 온도에 따라 덥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모래쥐의 보드라운 털에 코를 부비며 속삭였다. “유 러브 미(You love me)?” 그러자 모래쥐가 고개를 끄떡인다. 과연 말이 되는 소리일까. 미국 사우스앨라배마대의 조앤 시넛 박사팀은 손바닥보다 작은 동물인 모래쥐를 훈련시킨 결과 사람의 모음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결 ... ...
이전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