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나이 지긋한 노(老)교수는 기술 발달을 지켜보며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말을 기회 있을 때마다 했다. “로봇이 도입되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겠죠. 모름지기 사람이 노동 현장에 있어야 삶의 가치를 찾고 자아도 펼치는 법인데…” ‘미래 사회에 대한 여러 모델을 만들어 사람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난 3월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사건을 두고, 여러 반응이 쏟아졌다. 영화 ‘터미네이터’의 디스토피아를 떠올린 사람도 있고, 인공지능의 현재 수준이 아직 그 정돈 아니라며 놀란 마음을 달래준 전문가도 있었다.그 중 필자가 가장 흥미롭게 느낀 반응은 다음이다. “알파고는 이성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4월 22일은 윤정과 지호의 스무 번째 결혼기념일이었다. 파티까지는 아니더라도 근처 이탈리아 식당에서 온가족이 저녁 외식을 할 정도는 되는 날이었다. 하지만 지호는 21일에 술에 취한 채 술집 계단을 올라가다가 발을 삐끗해 뒤로 넘어졌고, 지금 엉덩이 뼈가 부러지고 왼쪽 정강이뼈에 금이 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바람 없는 날 바람개비 돌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새로운 실험실도 이제 아기자기하게 꾸몄겠다, 매일 신나는 실험을 즐기고 있던 섭섭박사님! 3월 14일 화이트데이를 맞아 사랑하는 칠월 씨를 실험실에 초대하기로 했어요. 그리고 칠월 씨에게 달콤한 봄바람을 선물하려고 마음먹었답니다. 방법을 열심히 생각하고 또 생각한 박사님은 ‘바람개비 ... ...
- [수학뉴스] 방정식을 풀었더니 웬 테러리스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여름방학이 다가오네요. 여러분은 이번 방학에 어떤 계획이 있나요? 혹시 여행을 떠난다면 비행기를 탈 때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은 삼가세요. 자칫하다가 테러리스트로 몰릴 수 있거든요! 실없는 얘기처럼 들리지만 지난 5월 7일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펜실베니아 경제학과 귀도 멘지오 교수가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으로 매일 기록하고 있는 모든 정보는 빠르게,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가 되고 있다. 또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빅데이터의 진정한 의미는 가치뉴스에서, 길거리 광고에서, 어디서나 빅데이터란 단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름만 봐서는 큰 데이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과일가게 주인은 다 아는 수학 상식! 바로 케플러 추측입니다. 크기가 같은 공을 상자에 가장 많이 담으려면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를 3차원이 아니라 더 큰 차원, 8차원과 24차원으로 확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우크라이나의 수학자가 이를 해결했습니다. 상상도 ...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2014년 7월 14일, 한 주물업자가 10원짜리 동전 40만 개를 녹여 팔려다가 한국은행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10원짜리 동전 한 개에 들어있는 구리의 가치가 약 30~40원이었기 때문이다. 주물업자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10원짜리 동전에 구리가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 어떻게 알았을까?10원짜리 동 ... ...
- [과학뉴스] 노케미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의 여파로 화학제품에 대한 공포와 거부 심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급기야는 믿을만한 원재료를 구입해 화장품이나 샴푸를 직접 만들어 쓰겠다는 소비자도 생겼습니다. 화학물질(chemicals)을 거부한다는 뜻에서 이들을 ‘노케미(No-chemi)족’이라고 부릅니다.안전성이 ... ...
-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화학반응의 중간 과정을 파악하는 일은 과학자들의 오랜 목표였다.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분자 구조는 짧은 시간에 여러 차례, 복잡하게 변하기 때문이다. 보통은 반응물질과 생성물질밖에 확인할 수 없었다.그런데 미국 UC버클리와 독일 막스플랑크 물질구조역학연구소 공동연구진이 화학반응의 ... ...
이전6846856866876886896906916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