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도중
사이
틈
중도
동안기후
기후
d라이브러리
"
동안
"(으)로 총 9,45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대비 요령
과학동아
l
199604
2. 지진이 끝나면대부분의 지진은 1분 이내에 끝나기 때문에 몇가지 행동을 취하는
동안
건물의 진동은 멈추게 될 것이다. 지진이 끝났다고 판단되면 우선 건물의 상태를 간단히 조사한다. 한차례의 지진이 끝나고 얼마 지난 후 또 한차례의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여진(餘震)이라고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04
네트스케이프(Netscape Navigator) 아성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다. 네트스케이프 또한 그
동안
의 수많은 잠재 사용자를 등에 업고 한달이 멀다하고 새롭고 놀라운 기능을 계속 추가하면서 여러 회사들과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어가고 있다.그렇다면 현재 컴퓨터업계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인터넷 ...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04
전보다 무려 2백85배나 늘어났으며, 사고 전 비옥했던 농토와 산림 지역이 앞으로 수세대
동안
살 수 없거나 이용할 수 없는 곳으로 변했다" 고 한다. 그 탓에 이재민이 된 40만명은 아직 귀향하지 못하고 있다.그러나 피해상황은 등록된 숫자의 2-3배, 혹은 그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게 보편적인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04
"라이프니츠의 방법은 말과 기호만 다를 뿐 나의 발견과 거의 같다" 고 밝혔다. 그후 10년
동안
영국을 제외한 유럽의 모든 국가에서 라이프니츠의 방법이 보급됐고, 그 결과 라이프니츠는 미적분학의 '창시자' 로 공인되고 있었다.그러던 어느 날 영국의 한 수학자가 라이프니츠의 독창성을 부인했다.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03
개의 개체에서 총 1천5백97개의 종을 분류해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표본 채취를 하는
동안
새로운 종을 발견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다양성이 매우 커서 상자 시료채취기가 닿는 곳마다 새로운 것이 발견됐다. 약 93㎠의 진흙에서 매번 이제까지 과학계에 알려지지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03
통해 큰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앞으로 연구 주제도 이쪽으로 정할 생각입니다.구창회그
동안
식물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저도 새에 대해서는 잘 몰랐습니다. 한마디로 경이로움을 느꼈습니다. 미리 공부를 더 했더라면 보다 많은 것을 배웠을 텐데...길덕만지역별로 사진을 엮어 책을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03
엄지발가락보다 긴 그리스인 발을 가진 사람은 장거리 보행에 주의해야 한다. 걷는
동안
에 엄지발가락 뿌리쪽에 실려야 할 체중이 둘째발가락 뿌리쪽에 실리기 때문에 둘째발가락에 스트레스가 많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심하면 뼈가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또 둘째발가락 뿌리쪽에는 굳은 살이 많이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03
에는 음악은 물론 음향 문자 이미지 게임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동원된다. 특히 그
동안
첼리스트 요요마나 팝가수 프린스 등에 의해 실험됐던 새로운 음악유형 '하이퍼 인스트루먼트' 가 온라인으로 시연되기도 한다.11월에 열리는 '인터오페라' 는 이보다는 훨씬 대중적인 이벤트. 미국 MIT대학 ... ...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03
들을 수 있다. 단어 철자를 맞추는 코너도 있어 익힌 사물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동안
배운 단어들을 종합해 한 편의 동화로 들려줘 재미있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토비의 ABC주로 영어 단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에게 적당한 타이틀이다. 일종의 단어사전. 3백60여개의 단어가 주제별로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03
14년을 살았다. 생리학적으로 연구할만한 재미있는 과제는 정자들을 어떻게 그 오랜 세월
동안
체온 상태에서 건강하게 유지하는가이다. 시험관아기를 비롯해 인공 수정을 목적으로 정자를 액체 질소 속에 넣어 얼렸다가 필요할 때마다 다시 녹여 쓰는 인간의 기술과는 비교가 안되는 수준이다 ... ...
이전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