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십자로 이어진 통나무, 인류 최초의 목조 건축물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구조물이요. 정확히 무슨 구조물인지는 여러분이 한 번 추론해 보세요. 바햄 연구팀은 2019년에 우리가 살던 칼람보 폭포 인근에서 목조 구조물을 발견했어요. 가장 최근의 빙하기가 있었던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의 유적지에서 찾아낸 거였죠. 목조 구조물은 오랫동안 땅속에 파묻혀 있었는데,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실제 뼈 구조를 확인한 후에야 진행됐다. “지층이 단단해서 화석 발굴에 말그대로 10년이 걸렸습니다.” 인고의 과정을 거쳤지만 여기저기 조각난 13개의 척추뼈, 4개의 갈비뼈, 골반 일부만 발견됐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도 주인공의 거대함을 유추하긴 어렵지 않았다. 이렇게 사막에 잠들었던 ...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한다. 고만고만한 논문은 100편을 쓰더라도 세계는 알아주지 않는다. 나의 경우에도 2000년대 초 이후로 네이처, 사이언스 등 주요 학술지에 논문을 수 편 실었지만, 사람들이 알아주는 논문은 앞서 말한 두 편이지 않나.Q.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 살짝 이야기해달라어차피 이번 노벨 화학상은 내 차례가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많다”는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과학동아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노벨 과학상을 수상한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성과가 발표된 논문을 분석했다. 분석에 활용된 논문은 노벨 위원회가 이들의 핵심 논문으로 소개한 논문 중에서 가장 출판 시기가 빠른 것을 선정했다. 논문이 ... ...
- 아이작 뉴턴경, 당신의 생일 파티에 오신 걸 환영하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날짜가 바뀐다. 영국은 그레고리력이 반포된 이후에도 한동안 율리우스력을 쓰다가 1752년에야 이를 받아들였다. 뉴턴이 알고 있던 본인의 생일은 12월 25일이었기에 헤오바는 “율리우스력에 따라 12월 25일은 좀 더 크게 기념했고, 그레고리력엔 소소하게 챙겼다”며 덕후의 면모를 뽐냈다. 그는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먼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존슨 종합 암센터에서 임상시험에 참여하기 위해 환자가 서명한 1만 2082개의 문서를 수집했다. 그 중 93.9%는 영어가 모국어인 환자였고 나머지 742명만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이었다. 그 중 영어를 잘 하지 ... ...
- 동아사이언스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나의 채티에게’ 촬영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제작 방향과 시놉시스 등을 수정했습니다. ‘작당모의’ 팀이 고른 작품은 이무강 청소년 작가의 ‘나의 채티에게’였습니다. 소설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안락사 서비스인 드림 서비스가 가능해진 2036년, 한국에 안락사를 기다리는 주인공이 있습니다. 주인공은 안락사 서비스를 기다리며 방을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미래 세상을 변화시킬 기술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나노과학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디스플레이, 배터리, 반도체 등 여러 분야에서 1차 혁신을 일으켰다. 나노의학은 나노과학이 일으킬 2차 혁신으로 거론된다. “나노의학은 단순히 지금 있는 의학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게 목표가 아닙니다 ... ...
- [DGISTX융복합 파트너] 경쟁상대가 아닌 협업의 도구 AI-인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세돌 9단. 인공지능(AI)이 인간과의 바둑 경기에서 대승을 거두며 전세계를 들썩인지 7년이 지났다. 이후 대화가 가능한 생성형 AI인 챗GPT가 출시됐고, 작곡하는 AI, 그림 그리는 AI, 소설을 쓰는 AI도 나왔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로 뻗어 나가는 AI를 경쟁상대가 아닌 효율적인 도구로 바라보자는 ... ...
- 킬 스위치로 박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1년 미국 플로리다주에 유전자를 조작한 수컷 이집트숲모기알 500만 개를 풀어놨습니다. 1년이 지난 뒤 근처에 있는 모기 알 2만여 개를 모아 보니, 모두 조작된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으로 확인됐지요. 어떻게 모기의 유전자를 바꿨을까요? 옥시텍은 수컷 모기의 알 DNA에 tTAV라는 단백질, 이른바 ‘킬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