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밀도
색도
밀집 상태
비중
효력
분자
d라이브러리
"
농도
"(으)로 총 1,709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리제581d, 생명이 살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행성 가운데 ‘글리제581d’의 기후를 시뮬레이션했지요. 그 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가 높고 바다와 구름, 비가 있을 만큼 기온이 온난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지금까지 태양계 바깥에서 발견된 행성 중에서 처음으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다고 밝혀진 거죠.글리제581d은 글리제581에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데에 그치지 않는다. 연구팀은 공기중에 퍼지기에 가장 적합한 매운 분자의 결정 크기와
농도
를 끊임없이 실험했다. 그 결과 탄생한 ‘고추냉이 경보기’는 자고 있던 사람을 1~2분 안에 깨울 수 있다.이외에도 연구팀은 썩은 양배추(메틸메르캅탄)나 썩은 달걀(황화수소)에서 나는 냄새 분자도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온을 배출한다. 그러면 형광 입자가 이온과 반응해 색이 변한다. 목표로 하는 물질의
농도
가 높을수록 형광색이 진해진다. 포도당 입자 외에도 센서 입자가 나트륨과 만나면 탈수를, 혈중 산소와 만나면 빈혈을 체크한다. 입자들은 지름이 12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해 미세한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는 IPCC의 예상보다 80%나 높은 수치다.치솟는 이산화탄소
농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는 1970년부터 2000년까지 평균 1.5*ppm씩 올랐다. 하지만 2010년 4월에는 전년보다 3ppm이나 오른 392.4ppm을 기록했다. 이대로라면 2100년에는 900ppm이 될 것으로 보인다.이상기후 2003년 8월 1일부터 1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결과는 최첨단 기후 모델들로 예측한 미래 기후 전망에서도 나타난다. 온실가스
농도
증가율에 따라 사막화의 진행 속도는 달라지겠지만 모든 시나리오는 사막 및 건조지대의 상당한 확장을 예상하고 있다. 지난 세기에 걸쳐 일어난 사막화보다 훨씬 더 심각한 수준의 사막화가 금세기 말까지 ... ...
우주에서도 깨끗한 물 마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들어 있는 원판을 이용하면 러시아연방우주국이 물을 살균하기 위해 쓰는 은의
농도
도 측정할 수 있다. 은이 많아질수록 원판은 노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한다. 지금까지 우주정거장의 수질을 분석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지구로 가져오는 것이었다.연구에 참여한 빌 루퍼트 박사는 “실험실에서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높이는 효과가 있다. 납 성분은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지만 콜에 들어 있는 납은
농도
가 매우 낮아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그 외에 이집트 여인들은 강렬한 태양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오일을 바르고, 화려한 가발을 만들기 위해 머리 염색기술과 비듬약도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무기염류의
농도
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한다. 따라서 바닷물을 마시면 몸속 무기염류의
농도
를 낮추기 위해 물이 더 필요해진다. 세포 안에 있는 물까지 끌어와야 하기에 자칫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누구나 안다고 생각하는 바닷물에는 이처럼 많은 비밀이 숨어 있다. 학생들은 바다에서 직접 ... ...
커피 얼룩에서 테두리 없애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옅고 가장자리는 진하게 얼룩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치 한 폭의 수묵화처럼 부분마다
농도
가 다른 이 현상을 과학자들은 ‘커피 고리 현상’이라고 부른다.1997년 시드니 나젤 시카고대 교수팀은 이 현상은 물방울이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부터 증발해 들어갈 때 아직 마르지 않은 중앙의 ... ...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미생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공기 속 이산화탄소가 많을수록 미생물은 호흡하기 쉬워 활동이 활발해진다. 이산화탄소
농도
가 높으면 식물의 광합성도 활발해져 더 많은 영양분을 토양에 공급하기 때문에 미생물의 활동을 돕는다. 노스애리조나대의 브루스 휴가트 교수는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끌어올수록 미생물은 더 많은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