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원"(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포함된 국제공동 연구팀에서 관찰했답니다.이에 앞서 2013년, 김순욱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와 김정숙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는 걸 처음으로 관측해 발표했어요. 무거운 별들이 탄생하는 지역(W75N)을 관측한 결과로, 태어난 지 얼마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조각이 있다면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진단하는 것이다. 인하대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예방의학을 가르치는 황승식 교수에 따르면, 진단 과정에서 증상이 심하지 않은 환자는 가래를 뱉기 어렵다. 그래서 감염된 환자라도 가래를 충분히 뱉지 못하면 메르스 바이러스를 감지할 수 없다.하지만 ...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신도림역에서 첫 쌍둥이를 만났다. 홀로 인터뷰에 나온 김영채 씨는 미술을 전공한 대학원생이다. 그녀의 쌍둥이 언니 역시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고, 지금은 제주도에서 홀로 작업을 하고 있다. 쌍둥이 자매는 자신들도 놀랄 만큼 팔, 다리, 키 같은 몸 생김새가 똑같다고 했다. 차이점도 있었다.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사도를 계산하면 더 정확한 추천을 할 수 있다. 백두권 고려대 융합소프트웨어전문대학원 교수팀은 실험을 통해 이런 점을 확인해 작년 4월 논문으로 발표했다.쉽게 설명해보자. 나와 구매성향이 비슷한 트위터 친구 여섯 명이 있다. 이 중 네 명은 갤럭시6를 샀고, 두 명은 아이폰 6를 샀다. 기존 ...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짓기에 가장 좋은 장소는 아닐까요? 그래서 2014년, 이화대학대학교 에코과학부 정다미 대학원생은 번식한 제비 둥지가 있는 농가에서 반경 200m 이내에 있는 폐가 38채를 조사했어요. 하지만 폐가에 둥지를 튼 제비는 단 한 마리도 없었어요. 제비는 사람이 살지 않는 폐가보다 사람이 살고 있는 가옥에 ...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답은 실험실에서 키우던 효모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1978년 5월, 그는 한밤중에 연구실 대학원생의 전화를 받고 전자현미경이 있는 학교 실험실로 급히 달려갔다. 효모 몸 안에 평소와 달리 작은 주머니가 가득 차 있었다. "인생에서 가장 잊지 못할 순간이었죠. 세포가 물질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작은 ... ...
-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연구와 같은 범국가적인 연구 프로젝트가 아닌 한 매우 드문 일이다.저자 1014명 중에는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은 학부 학생이 900명 이상 포함됐다. 대부분은 실험을 위한 원본 데이터를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 학생들이었다. 학계에서는 논문 저자의 기준을 지나치게 확대 적용했다는 비판이 일고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울려 퍼진다. 어디 사장님뿐이랴. 아버지뻘의 선배들이 주도하는 동문회, 40~50대 부모님, 대학원생들을 지도하는 교수님…. 하지만 정작 이유를 아는 사람은 없다. 박한선성안드레아 병원 정신과에서 마음이 아픈 환자를 돌보는 한편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해치는 것처럼, 빨간약도 때때로 심한 피부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강 강원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팀이 2012년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에 실은 논문을 보면, 상처부위를 포비돈 요오드로 소독한 뒤 이틀간 지혈대를 덮은 환자에게서 3도 화상이 발견됐다. 3도 화상은 피부뿐 아니라 피하조직까지 모두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날개짓이 태풍을 만들 수 있다는 카오스 이론의 아주 좋은 예다.미국 존스홉킨스대의 대학원생들은 여기에 한술 더 떠 온도까지 추측했다. 이들이 2013년 ‘파퓰러피직스’에 발표한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라는 논문에서 두 개의 별과 한 개의 항성이 꽈배기 모양으로 회전하는 삼체를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