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우주인들로만 이뤄진 첫 우주유영을 앞두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화성에 발을 디딜 첫 인류가 여성이 될 수도 있다”며 “매우 기념비적인 사건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통해 2024년 달을 밟는 첫 여성 우주인을 탄생시키고, 2030년대 화성 유인 탐사에도 ... ...
- THE NOBEL PRIZE 2019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기원을 탐색하고, 인류의 시야를 태양계 바깥으로 확장한 과학자들에게, 화학상은 인류가 편리한 디지털 문명을 누릴 수 있게 도운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과학동아는 이들의 동료로, 제자로 옆에서 지켜본 국내 최고의 과학자들에게 수상의 의미와 수상자들의 삶의 철학을 들었다. ▼이어지는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수상자의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분석이 가능하다. 우선 인류의 고령화 자체가 한 가지 원인일 수 있다. 노벨상이 생존해 있는 사람에게만 수여되는 만큼 ‘오래 살아야 노벨상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는 기정사실처럼 굳어지고 있다.또 다른 이유도 있다. 구스타프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겁니다. 애초에 인간이 그렇게 말을 잘 듣는 동물은 아니니까요. 인공지능 유모가 과연 인류에게 좋은 일일지는 각자의 생각에 맡기겠습니다. 고호관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SF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테네시)은 2012년 미국 정부의 기초과학 예산 삭감에 반발하는 의미로 허황돼 보이지만 인류에게 큰 영향을 끼친 연구에 수여하는 ‘황금거위상’을 만들었다. 올해 9월 9일 ‘제8회 황금거위상’은 5명의 수상자에게 돌아갔다.잭 레빈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의대 교수와 ... ...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영어로만 강의가 이뤄진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무엇보다 ‘인류의 삶에 공헌한다’는 UNIST의 비전이 필자의 근본적인 바람과 꼭 들어맞는 점에 끌려 UNIST로 진학을 결심했고, 2011년에 입학했다.UNIST는 입학할 때 전공을 정하지 않는다. 덕분에 1학년을 보내면서 나중에 ... ...
-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걷고, 말하고, 보고, 쓸 수 있으며, 결국 스스로의 존재를 깨우치는 수준에 이를 것이다.”인류 역사상 최초의 인공신경망 기술인 단층퍼셉트론(SLP·Single Layer Perceptron)을 제안한 프랭크 로젠블랫 미국 코넬항공연구소 인지시스템분과장은 1958년 7월 13일자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가기 위해서는 구하기 어려운 시료를 더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즉, 고인류 화석의 연대를 측정하고 싶다면 비슷한 형태의 화석을 많이 찾아야 한다는 얘깁니다.그런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1970년대 과학자들은 적은 시료로도 정확하게 연대를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기술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라 규소의 역할도 커질 것이다. 규소가 인류의 발전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세상을 ‘바꿀’ 원소라는 데 의문의 여지가 없다. 김희진 일본 오카야마대 응용화학과를 졸업한 뒤 교토대에서 유기합성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KAIST와 POSTECH ...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틀린 것이다.적어도 과학에서는 머리카락이 첨단 법유전학의 시료이자 우주에 대한 인류의 원초적인 궁금증에 대한 답을 찾는 직관을 상징하는 존재다. 과학에서는 머리카락의 존재감이 높아지고 있는데, 정치에서는 ‘신체발부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와 같은 낡은 사상만 강조되는 것 같아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