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d라이브러리
"
저자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실 속의 동물 상상 속의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갈수록 꿈을 잃어가는 사람들에게 상상력을 복원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를 희망하는
저자
의 바람처럼, 책을 읽으며 그동안 접어뒀던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는 것은 어떨까.다시는 만날 수 없는 동물에 대한 기억‘지구에서 사라진 동물들’은 1995년 4월부터 1년간 일본 NHK 위성방송에서 방송된‘20세기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보내와 “같은 연구실의 조재선 박사가 사이언스 8일자에 게재될 이번 연구논문의 공동
저자
로 돼 있다”며 “세계적인 관심사가 된 연구에 조 박사가 참여했다는 사실을 한국인들에게 알려주길 바란다”고 부탁했다.조 박사는 1999년 2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0년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개구리다.그러고 보면 개구리를 본게 언제적일까. 어린시절 개구리를 괴롭히며 자란
저자
가 사라져가는 개구리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우리에게 책으로 들려주는 개구리 얘기를 듣다보면 느끼는 바가 많다.개구리의 형태적 특징과 구조를 밝힌 양서류의 이모저모, 올챙이에서 개구리까지의 성장과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유머감각이 풍부했던 가모프는 자신의 대학원생 알퍼와 함께 연구했는데, 논문의
저자
를 그리스 문자의 알파·베타·감마 순으로 만들기 위해 별로 기여한 바 없는 물리학자 베테를 끌어들였다. 지금도 이 논문은 ‘알파·베타·감마’라고 불린다. 물론 이 논문의 내용은 유머감각 못지 않은 기지가 ... ...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유희의 서문과 말미에 남병길의 발문이 수록돼 있다.한편 밝혀지지 않은 책의 기원과 원
저자
, 이론보다는 경험법칙과 예제 중심의 서술방식, 수많은 철학문학서에 비해 매우 드문 자연과학서로서의 대표적 예 등을 보건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사회에서 과학기술이 사회적으로 ... ...
3가지 빛깔의 과학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열광하게 하기 때문이 아닐까.해당 과학자의 열렬한 팬이라고 할 수 있는 자서전의
저자
들은 그들 특유의 색깔로 과학자들을 재창조한다. 유명한 과학자들과의 인터뷰와 대화를 기초로 쓰여진 책이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는 ‘생명의 느낌’‘뷰티풀 마인드’‘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를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했던
저자
의 바람을 함께 이룰 수 있다면 큰 수확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그래서
저자
의 ‘한국과학사’가 과학사 연구를 시작한 1세대가 아직은 빈약한 연구성과를 모아 얼기설기 엮은 그물이라면, 한국 과학사의 구체적인 실상이 잡힌 언젠가 후학들에 의해 다시 한번 쓰여질 ‘한국과학사’는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주위의 생명체에는 수백억에 달하는 ‘자연산 슈퍼컴퓨터’가 존재하는 셈이다.논문의
저자
는 미국 남캘리포니아대(USC)의 레오나르도 아들만(Leonardo M. Adleman) 교수다.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인 그가 DNA컴퓨터를 생각한 것은 1993년의 일이다. 당시 그는 컴퓨터 과학자로서 AIDS 연구에 참여하고 ... ...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측면에서 그리고 지역적 측면에서 과학의 역사를 한권의 책 속에 담아내고자 했던
저자
의 의도를 이러한 긴 목차로부터 짐작할 수 있다.메이슨은 서두에서 오늘날과 같은 과학의 출현이 중세 후기 및 근대 초기에야 가능했다고 말하면서도, 제1부와 제2부의 11개 장을 할애해 고대 및 중세 동안의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컴퓨터 서버에 부하를 주진 않을까. 해킹의 위험도 무시할 수 없지 않은가. 논문의 공동
저자
인 KAIST의 정하웅 교수는 기생 컴퓨팅 기법에 대해 “계산을 주목적으로 하는 컴퓨터와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인터넷의 절묘한 결합”이라고 소개하면서 “사용이 공개된 서버의 특정 부분에만 접근하기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