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되도록 앞자리에 앉아야멀미의 원인이 이렇게 아리송한 만큼 그 대책도 다양하기
짝
이 없다. 그중 가장 좋은 방법은 되도록 신체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차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가령 등을 대고 누우면 앉은 자세보다 멀미의 발생을 20%까지 줄일 수 있다. 이 ... ...
뛰다가 지치면 TV보며 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면 그 동물들이 반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죠. 그들이
짝
이나 먹이를 어떻게 구분하는가를 아는 것은, 이 동물들이 자신의 세계를 어떤 눈으로 보고있느냐를 아는데 대단한 도움이 됩니다." 클라크 박사의 말이다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있다. 물론 이와같은 세포조작 연구를 할 때 감수분열과정에서 상동염색체가 제대로
짝
을 짓지 못하여 실험동물이 초기에 대량 폐사되는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연구과제가 더많은 것도 사실이다. 암수구별과 호르몬처리 기술염색체 공학연구 중에서 우리 연구팀이 착수하고 있는 또 다른 시도는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건상도(乾象圖) 즉 천문도를 함께 제작했다고 한다. 하늘의 그림과 땅의 그림을
짝
맞춰 만든 셈이다.전관상감정(前觀象監正) 이국화(李國華) 유우창(柳遇昌)과 화가 김진여(金振汝)가 함께 그린 이 지도는 1608~1610년에 중국에서 그린 동물과 선박의 그림을 넣은 곤여만국전도와 같은 것이다.이것은 140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인류의 농경은 현 이라크와 이란사이의 고원에서 시작됐다. 초기의 농경은 불확실하기
짝
이 없는 빗물에 의존했으나 점차 농부들은 수자원의 공급이 보다 용이한 가까운 강가로 이동했다.천수농경을 벗어나고자 강가를 찾음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기에 농부들이 그렇게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을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segmentation)기법을 적용한 획기적인 것이었지만 현시점에서 본다면 정말 우스꽝스럽기
짝
이 없다. 오디오 카세트를 보조기억장치로 사용한 PC 뒷면의 입출력 포트와 바이오스지원 롬베이직(ROM BASIC), CGA 어댑터, 녹색화면모니터, 5.25인치 FDD 슬롯(현재 사용중인 슬림형의 2배높이) 등이 당시 IBM PC의 ... ...
컴퓨터선생님 노릇 고달프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학교들의 당혹감은 상상 이상이었다. 고가로 구입한 첨단 장비들이 하루 아침에 아무
짝
에도 쓸모없는 고철 덩어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는 당시 여러 학교의 현실적인 걱정거리였다.아직 8비트컴퓨터로 베이직(BASIC, 컴퓨터언어의 일종)을 교육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고 일각에서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세상을 뒤바꿔 놓을 듯이.이런 들뜬 현상과는 달리 연구현장의 실상은 초라하기
짝
이 없었다. 연구의 3요소(인력 자금 시설) 모두가 미비했다.당연히 1단계 목표는 서구나 일본에 비해 형편없이 뒤떨어진 기반구축에 두었다. 그 결과 이제 어느 정도 힘을 쓰게 됐는데 정부와 기업이 뒷심이 물러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하나는 초대칭입자들이다. 알기 쉽게 풀이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모든 입자마다 초대칭
짝
이 있다는 것이다.예로 쿼크에는 초대칭 쿼크가 있어야 하고, 광자에는 초대칭 광자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글루온에는 초대칭 글루온입자가, 중력자에는 초대칭 중력자가 존재하고 있다고 수리끈이론은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수놈이고 암놈은 나무나 풀잎에 앉아서 빛을 내고 있다. 어떤 것은 1초에 30회 이상이나 반
짝
거리는 놈도 있다.반딧벌레의 유충은 물속에서 자라고 번데기가 될 때 육지로 올라온다. 이들은 주로 물가에서 산다. 대부분의 반딧벌레는 초식성이지만 육식성도 있다. 육식성 반딧벌레의 암놈은 빛으로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