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결
순정
청결
깨끗함
청정
진짜
증류수
뉴스
"
순수
"(으)로 총 760건 검색되었습니다.
햇빛만 있으면 CO₂로 메탄올 얻는다
2014.12.15
을 이용한 광촉매를 이용,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로 불순물이 없는
순수
한 메탄올만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메탄올은 자동차 연료나 공장용 화학제품 재료 등으로 쓸 수 있다. 현재 인공광합성 기술은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할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건 아니다. 술에 들어있는 불순문도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물과 알코올의
순수
한 혼합물에 가까운 보드카는 상대적으로 숙취가 덜한 술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실제 보드카가 숙취가 덜하다는 속설이 널리 퍼져있는데 연구결과 정말 그런 것으로 나왔다. 개인차는 있겠지만 연구에 따르면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합금과 비슷한 수준이다. 열 전달 효율 역시 일반 타이타늄보다 30% 이상 향상됐다. 또
순수
타이타늄을 이용한 만큼 이를 만든 부품을 회수해 재활용하기도 쉽다. 박 박사는 “이번 연구로 우수한 성능의 타이타늄 소재를 싸게 공급할 수 있게 됐을 뿐 아니라 환경적인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 ...
20Km 반경 전파 방향 정확히 찾아낸다
2014.11.24
수신한 전파 신호들을 ‘상관(Correlation) 처리’라는 특수기법을 통해 잡음을 제거하고
순수
전파 신호원만 추출하는 방법을 썼다. 그 결과 수신 탐지거리는 기존 대비 2배까지 증가한 20㎞으로 늘어났다. 또 수신 가능한 전파 역시 한층 넓어졌다. 가장 높은 주파수는 과거에 비해 2배 향상된 ... ...
[과학 발언대] “시리어스 게임은 시리어스 비즈니스다”
2014.11.18
역시 운영위원으로 지난 2년간 게임잼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던 것은 학생들의
순수
한 열정과 거침없는 도전정신 때문이었다. 좋은 게임을 만드는 일이야말로 곧 ‘인문과 기술의 융합’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천하는 방법이라고 믿고 있다. 올해의 게임잼 우승 작품의 이름은 ‘스페이스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없이 녹색 퀀텀닷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전석우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8월
순수
흑연으로만 이뤄진 ‘그래핀 퀀텀닷’을 만들었다. 전 교수는 “그래핀 퀀텀닷은 생체 독성이 적어 간세포와 줄기세포용 염료 등 바이오 이미징 기술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퀀텀닷으로 ... ...
첩보위성 장착 가능한 고성능 우주 반사경 국내 독자 개발
2014.11.05
나타낼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호순 우주광학센터장 팀은
순수
국내 기술로 직경 1m의 초경량 우주용 반사경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10년간 우주용 반사경 제작기술을 연구한 끝이 지난해 직경 80㎝ 반사경을 제작한데 이어 올해 1m 크기의 반사경 ... ...
[사이언스 브리핑] KAIST '엔드리스 로드' 3기 참여 작가 모집 외
2014.09.29
과학과 예술의 시너지를 추구할 수 있는 활동을 자체적으로 기획하여 진행하면 된다.
순수
문학, 드라마 대본, 영화 시나리오, 웹툰 등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창작하는 작가를 대상으로 하며, 현직 등단작가‧창작단체의 추천작가‧공모전 수상경력자들이 지원할 수 있다. ‘엔드리스 로드’ 3기는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시대가 덜 오래된 것으로 나온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런 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한
순수
한 시료로 측정을 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유럽 전역 40곳에서 발굴된 네안데르탈인 시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가장 최근 시기로 밝혀진 시료도 4만여 년(통계적 표현으로는 4만1030~3만9260년)이 한계였다. 이는 ... ...
‘건강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4.08.28
전석우 교수와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전기및전자공학과 유승협 교수 공동연구팀은
순수
흑연으로만 이뤄진 그래핀 양자점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양자점은 지름이 5nm 정도로 균일하면서도 높은 양자 효율을 보였다. '건강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에 성공한 KAIST 전석우 교수, 조용훈 교수,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