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리"(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2015.12.24
- 지원했지만 떨어지자 듀크대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재도전해 입학한 뒤 1939년 동위원소 분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벨전화연구소에 취직한 타운스는 2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레이더 연구를 했고 1948년 컬럼비아대 교수가 됐다. 전시에 행한 레이더 연구를 바탕으로 타운스는 1951년 마이크로파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 어떤 뉴런은 관절이 움직일 때만 반응했던 것. 이들 뉴런은 각각 수직적인 조직으로 분리돼 있었는데, 그는 이를 피질기둥(cortical column)이라고 불렀다. 마운트캐슬은 신피질이 이런 국소적인 회로의 반복단위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사실을 담은 그의 1957년 논문은 뇌과학의 기념비적 ...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2015.12.07
- 반면 효과가 없다고 분류한 11가지에는 생선기름(오메가3), 녹차추출물, 커큐민(강황에서 분리한 성분), 레스베라트롤(레드와인에 있는 성분) 등이 있다. 현재 화합물 가운데 가장 강력한 노화억제약물 후보가 바로 라파마이신이다. 라파마이신은 1970년 채집한 토양미생물 스테렙토마이세스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버틸 수 있을까. 첫 번째 비밀은 자기장에 있다. 플라즈마 상태는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로 전기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즉 전기적 성질을 갖는 입자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강력한 자기장 그물로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묶어 둔다면 물질에 직접 닿지 않고 공중에 뜬 상태로 만들 수 ... ...
- 가전제품 전자파 얼마나 나올까?KISTI l2015.11.21
- 4.55V/m으로 1/4 수준까지 전자파가 줄었다. 헤어드라이기를 쓸 때는 이왕이면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커버가 있을 때 전기장이 185.42V/m인데 반해 커버를 벗기면 350.12V/m으로 전자파에 2배 정도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비데는 전자파 영향이 가장 크다고 볼 수 ... ...
- “깨끗한 바다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포함)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장치들은 독립적으로 고유한 기능을 지니면서 분리할 수 있어 모듈화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운송이나 설치가 수월하므로 여러 모로 비용을 아끼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었지요. 해양, 하천, 댐 등지의 퇴적물뿐 아니라 토양오염에도 이 기술을 응용할 수 있어 ...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특히 알파-튜불린 유전자 정보에 대해 기존에 정리된 것이 있고 분자 수가 많아 유전자 분리에 유리하여 쉽게 연구에 적용할 수 있었다. 그림 4.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특정 성분을 검출하는 과정. 특정 물질에 반응하는 항체를 넣고, 여기에 항체와 결합하면서 방사성 물질이나 색소로 표시된 ... ...
- 태평양 한가운데 삶의 현장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올린 물고기를 해부했다. 여학생 남학생 가릴 것 없이 모두가 물고기 내장을 하나하나 분리하고 새끼손톱보다 작은 뇌를 척척 찾아냈다. 특히 늘 말이 없고 얌전했던 정의원 군(강원 정선 여량고 2)이 몹시 열정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 모두를 놀라게 했다. 시종일관 장난을 치며 분위기 ... ...
- [COOKING의 과학] 가을무는 인삼보다 좋다?!KISTI l2015.11.07
- 때, 글루코사이다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티오시아네이트와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분리되면서 독특한 향과 맛을 나타내는 것이다. 무는 옛날부터 김치나 깍두기로 많이 먹었고, 무말랭이나 단무지까지 그 이용이 매우 다양하다. 된장이나 고추장 속에 박아 장아찌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생선을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인을 쓴(핵산 표지) 파지를 준비한 뒤 대장균에 감염시켜 배양한 뒤 파지와 대장균을 분리해 동위원소가 어느 쪽에 있는지 조사했다. 1952년 허시와 체이스는 방사성동위원소표지법을 써서 유전물질이 핵산임을 입증했다. 즉 박테리아 세포 표면에 달라붙은 파지는 박테리아의 세포막을 뚫어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