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2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교수는 서평에서 LED의 등장으로 세계 보건에 ‘적색등’이 켜졌다고 경고하고 있다. 즉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조명이 널리 퍼지면 안 그래도 심각한 빛공해가 더 심해질 게 분명한데다가 LED의 빛 품질이 기존 조명인 백열전구나 형광등에 비해 건강에 안 좋기 때문이다. 즉 LED 백색광은 햇빛처럼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한꺼번에 벗겨지면서 과학계는 흥분하고 있다. 특히 태양 내부에서 생산되는 대량의
에너지
가 외부 대기인 코로나로 어떻게 전달되는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소통할 때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음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그는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연구단’에 소속돼 자신의 전문 분야인 양자점을 연구하는 데 이 능력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양자점은 크기에 따라 흡수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태양전지나 바이오 이미징 등 다양한 ... ...
[이주의 과학 신간] 리처드 뮬러의 그림으로 배우는 물리학 外
2014.10.12
물리학 (리처드 뮬러 著, 살림FRIENDS 刊) ‘대통령을 위한 물리학’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 등 대통령 시리즈로 유명한 리처드 뮬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의 새 책이 출간됐다. 이번에는 그림으로 배우는, 청소년을 위한 쉬운 물리학 교양서다. 길어야 한 페이지를 조금 ... ...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
2014.10.07
주입한 뒤 전류를 흘리면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빛을 방출한다. 이렇게 전기
에너지
를 빛으로 변환해주는 소자가 LED다. 1960년대 빨간색을 방출하는 LED 소자가 개발됐지만 파란색과 초록색 LED는 좀처럼 만들어지지 않았다.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아카사키 교수의 제자였던 아마노 ... ...
오르락 내리락, 고층빌딩 페인트칠하는 로봇
2014.10.07
등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자동 로봇이 새롭게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 극한
에너지
기계연구실 함영복 연구원팀은 기존 또는 신축 고층 건물 콘크리트 외벽 도장 및 청소작업을 위한 원격조정 자동화 곤돌라 시스템, 일명 ‘월봇’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로봇은 사람이 직접 ... ...
태양전지, 제조원가 절반으로 낮췄다
2014.10.06
과정을 대폭 줄였다. 연구팀은 앞으로 기판의 두께를 50㎛까지 줄이고 태양전지의
에너지
효율을 지금의 18.5%에서 20% 이상으로 끌어올려 세계적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송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우리나라가 태양광전지 시장에서 선발주자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1~ ... ...
우뭇가사리로 자동차 연료 만든다
2014.10.05
홍조류. - 위키미디어 제공 연구진은 해양미생물인 비브리오 세균이 한천 무수당을
에너지
원으로 쓴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비브리오 세균이 분비하는 효소를 한천 무수당과 반응시키는 실험을 반복한 결과 한천 무수당이 분해되는 원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원리를 이용해 실제로 ... ...
지구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2014.10.03
윌리엄 잭슨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교수팀은 이산화탄소에 고
에너지
자외선을 쪼이면 탄소와 산소로 분리된다며 광합성을 통하지 않고도 우주에서 직접 산소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산소 우주 기원설’을 ‘사이언스’ 2일자에 발표했다. 잭슨 교수는 “우주에서 생성된 산소의 ...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4.10.01
효율을 기존보다 3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고분자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
를 빛으로 바꾸는 고분자 유기발광소자는 형태나 무게를 조절하기가 자유롭고 용액공정이 가능해 대량생산이 쉬운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발광효율이 이전까지는 5%에 불과하고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 ...
이전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