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최첨단 검출기가 필요하다. LHC에는 CMS와 ATLAS라는 두개의
실험
그룹이 있는데, CMS에는 한국검출기연구소에서 개발한 전방저항판검출기도 쓰인다. 이것은 힉스입자의 발견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뮤온입자를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게 식별해낼 수 있는 검출기다.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유언을 남긴데서도 이런 태도를 엿볼 수 있다. 또 물리학 분야에서 초기에는 거의가
실험
물리학에 수상자가 몰려있었고 이론물리학은 1919년 막스 플랑크가 양자론으로 상을 받기까지 늘 ‘찬밥 신세’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그러나 일설에는 노벨이 미탁-레플러라는 수학자와 ... ...
식품에서 철분 찾아내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많이 사용되는 시리얼에 철분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검출해보자.■ 왜 그럴까?이
실험
은 시리얼 안에 들어있는 철가루를 자석을 이용해 분리해내는 것이다. 즉 철분 강화란 금속 철가루를 넣었다는 뜻이다. 사람은 금속 상태의 철가루를 그대로 흡수하지 못한다. 그런데 시리얼 속에 들어있는 철분은 ... ...
유전자 추적해 '부모중 누구 닮았나'규명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받으며 박사과정 8명, 석사과정 2명, 그리고 연구원학생 2명이 연구에 임하고 있다.
실험
대상은 생쥐. 유전자의 구조와 유전 현상에서의 조절 양상이 사람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사람을 포함한 고등 유전현상 연구의 주요한 모델로 애용되는 동물이다.연구원들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고대에도 전지가 있었다는 증거가 되지만 현대와 같은 전지 기술의 발전은 1794년 볼타의
실험
에서 비롯된다. 볼타는 1880년 조셉 뱅크스에게 보낸 편지에 동전만한 크기의 은(또는 구리)과 아연(또는 주석)을 한 조로 여러개를 높이 쌓고 그 사이사이에 양잿물을 적신 마분지를 끼워 양끝을 도선으로 ... ...
4. 팔은 안으로 굽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사용해 물리적 양의 정밀한 측정을 물리학의 임무라고 간주하는
실험
물리학적인 경향과
실험
실에서 다룰 수 없는 존재에 대한 논의를 금기시하던 화학의 전통적 기준에서 본다면 아레니우스가 제시하는 이온이라는, 당시로서는 사변적인 개념을 그들이 수용하기는 쉽지 않았던 것이다.아레니우스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철봉에 닿을 때마다 팔딱거리는 것을 관찰했다.같은 시기에 그의 아내인 루시아는
실험
실 한쪽 편의 전기 기구가 작동해 스파크를 내는 순간 우연히도 조수가 외과용 수술 칼로 개구리의 신경을 건드렸을 때, 개구리 다리의 근육이 수축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갈바니는 금속의 난간과 수술 칼이 신경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고등과학원은 물리학과 수학 분과만 갖췄을 뿐 화학과 생물 분과 설립을 늦추고 있다.
실험
시설이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비용 충당이 만만치 않다.묘책으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전망이 밝은 컴퓨터생물학(computational biology)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유전자 구조에 관한 수많은 ... ...
3. 1998년 노벨상 : 신물질의 성질 컴퓨터가 알아준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어서 양자화학 분야에 주어진 두번째의 상이다. 특히 포플의 업적은 그 동안
실험
이나 이론과는 다르게 여겨져왔던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을 중요한 학문적 업적으로 인정하는 새로운 계기가 됐다 ... ...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다. 만유인력 상수를 계산하려면 두 물체 사이의 인력을 직접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실험
실에서 측정할 수 있는 만유인력의 크기는 매우 작다. 따라서 G는 뉴턴이 만유인력을 발견한 지 1백30년이 지나서야 영국의 물리학자인 캐번디시에 의해 처음으로 측정됐다. 캐번디시는 수평한 막대의 양 ... ...
이전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