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24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나
2014.09.17
햇빛이 내리쬐면 푸른 잎을 가진 식물은 저마다 먹거리를 장만하느라 분주해 진다. 빛을 이용해 포도당을 생산하는 이 과정은 ‘광합성’이다 ...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시스템은 친환경 대체
에너지
나 촉매를 개발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전기 절약하느라 불편하셨어요? 이제 그러지 마세요.”
2014.09.17
학생들은 고개를 주억거렸다. 이번 강연은 서울시
에너지
시민협력반에서 추진하는 '
에너지
절약실천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에게 전기를 절약해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와 원리를 알려주는 게 목적이다. 심 이사는 “지금까지는 냉장고 문 적게 열기, 피크 타임에 에어컨 끄기처럼 개인의 불편을 ... ...
물에 햇빛 쪼였을 뿐인데 수소가 펑펑
2014.09.16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8월 2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산화탄소가 걱정이세요? 촉매가 있잖아요
2014.09.12
원소 34종을 첨가하는 실험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한 결과 황(S)과 결합했을 때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았다. 김 교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최적의 촉매를 단기간에 발굴할 수 있었다”며 “새로운 소재 개발에도 이 기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대학에서 교양필수서로 채택돼 사용되고 있다. 뮬러 교수는 2012년에는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를 펴냈다. 뮬러 교수는 저명한 핵물리학자로 초신성 프로젝트를 이끌기도 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제자인 솔 펄머터 UC버클리 교수는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최근 지구온난화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재충전 할 수 있는 시설도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에서 건물용
에너지
공급을 위해 플로우 셀 배터리를 연구하고 있다. ●충전에 시간 걸리면, 배터리 통째로 갈고 끝 현재 생각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간단한 방법은 충전소에 들러 표준화된 배터리를 통째로 갈아 ... ...
Happy Birthday, 보이저 1호!
2014.09.05
멀어지고 있다. 보이저 1호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활용한 전력공급장비 덕분에 태양광을
에너지
원으로 쓰는 다른 위성과 달리 태양빛이 미치지 않는 태양계 바깥에서도 움직일 수 있다. NASA는 보이저 1호가 연료로 사용하는 플루토늄이 바닥이 나는 2025년까지는 계속 여행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 ...
암 전이 일어나는 이유 드디어 밝혀져
2014.09.02
1’ 단백질이 변형돼 나타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컴플렉스Ⅰ은 세포가
에너지
를 저장하고 이용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로, p21은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사람의 폐암세포에서 컴플렉스Ⅰ과 p21 단백질을 각각 변형시켜 생쥐의 허리 밑에 이식한 뒤 암세포가 ... ...
영하 50도 북극엔 인공섬…6000m 심해엔 유인 잠수
2014.08.29
불린다. 특히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연소 시에 이산화탄소와 물만 생성해 미래 청정
에너지
로 꼽히는데, 알래스카 북극 지역에는 1억이 넘는 가구가 10년 이상 난방할 수 있는 양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인공 섬 기술은 현대중공업이 FPSO 전용 독(dock)을 ... ...
길이만 30km, 세계 최장 가속기 ILC
2014.08.28
20nm 이내로 입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었다. 경북대 물리학과 연구원이 일본 국립 고
에너지
물리연구소에 설치한 빔 진단시스템을 조작하고 있다. - 김은산 교수 제공 김 교수는 “빔 진단 시스템이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수준을 자랑하는 만큼 ILC가 완성되면 거대강입자가속기(LHC)보다 더 ... ...
이전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다음
공지사항